한국 양대 국적 항공사 시대와 작별인사
대한항공, 63.9% 지분율 취득해
향후 약 2년간 브랜드 통합에 총력
1988년 아시아나항공 설립 이래 36년간 이어진 한국의 양대 국적 항공사 시대가 드디어 막을 내린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의 지분을 11일 취득한다. 대한항공, 63.9% 지분율 취득해
향후 약 2년간 브랜드 통합에 총력
대한항공은 이날 아시아나항공이 진행하는 제삼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 1조5000억원을 투자해 신주 약 1억3157만여주(지분율 63.9%)를 취득한다.
대한항공은 2020년 12월 계약금 3000억원, 2021년 3월 중도금 4000억원 등 총 7000억원을 이미 지급했다. 이날은 잔금 8000억원을 추가 납입한다.
잔금 납입을 마치면 대한항공은 상법상 납입일 다음 날인 12일부로 아시아나항공의 최대 주주가 되며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한다.
대한항공은 기업결합을 위해 승인을 받아야 하는 세계 14개국 중 13개국의 승인을 마치고, 남은 미국에는 EU 집행위의 기업결합 승인 결과와 아시아나항공 신주 인수 계획을 보고했다.
미국이 이날 신주 인수가 마무리될 때까지 반독점 소송 등으로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기업결합을 승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한항공은 2020년 11월 아시아나항공 인수 추진을 공시한 이후 4년 1개월 만에 기업결합 과정을 마무리한다. 2019년 4월 아시아나항공의 매각이 결정된 시점부터는 5년 8개월 만이다.
대한항공은 내달 중 아시아나항공의 새 대표이사와 주요 임원진을 선임할 예정이다. 향후 약 2년간은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운영하며 기업문화 융합 등 브랜드 통합에 나선다.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 등 양사 산하 저비용항공사(LCC) 3사의 통합 작업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