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에 민감한 엔트리 레벨, 가격 대폭 인상 어려워
소비자·시장의 미국 차량 가격 급등 우려 진화
소비자·시장의 미국 차량 가격 급등 우려 진화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사장이 미국의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에 따른 미국 내 차량 가격 인상 우려에 대해 "급격한 인상은 없다"고 공식 선언했다. 일각에서 미국시장에서 관세부과에 따른 차량 가격 대폭 인상의 우려가 나왔지만, 현대차는 안정적으로 차량 가격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15일(현지시각) 블룸버그와의 인터뷰를 통해 관세 충격에도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무뇨스 사장은 "하룻밤 사이에 엄청난 (가격) 인상을 보게 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않는다"며 "시장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뇨스 사장의 이런 언급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올해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는 업계 일부의 전망과 소비자들의 우려를 진화하기 위한 취지로 풀이된다.
미국 시장에서는 수입 자동차에 25%의 고율의 관세가 적용되며 수익성 악화로 인해 가격 인상과 일부 모델의 철수 등이 예고됐다. 하지만 무뇨스 사장의 이번 인터뷰로 현대차는 이런 시장의 움직임과 달리 안정적인 공급을 약속하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무뇨스 사장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부담하는 관세 비용의 영향이 모델의 가격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면서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모델에 대해서는 단기적인 수익성 악화를 감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엔트리 레벨의 가격이 3000∼4000달러(약 429만∼571만원)씩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 (시장의) 고객들은 가격에 매우 민감해서 가격을 그렇게 올리면 차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무뇨스 사장은 이달 초 현대차가 미국에서 가격을 향후 두 달간 인상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뒤 판매 실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고도 말했다.
무뇨스 사장은 이런 마케팅 프로그램이 끝난 뒤 무슨 일이 일어날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현대차가 일부 모델을 빼거나 가격을 크게 인상할 계획은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무뇨스 사장은 지난달 현대차가 미국에 총 210억달러(약 30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는데도 자동차 관세가 부과된 것에 대해서는 "우리는 인센티브나 관세 때문에 움직이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에게 미국은 가장 중요한 시장"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미국에 210억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이는 미국 내 생산을 강화하려는 장기 전략의 일환이다.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쇳물부터 완제품까지 만드는 새로운 생산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미국에서 미래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한다. 미래 기술 관련 유망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선제적 투자를 집행하고, 원자력,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와 함께 전기차 충전소 확충에도 힘을 보탤 계획이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