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 SKT 해킹 사태 후속책...'정보보호 혁신위원회' 구성 착수

글로벌이코노믹

SK, SKT 해킹 사태 후속책...'정보보호 혁신위원회' 구성 착수

최태원 회장 약속 후속조치로 그룹 보안 수준 진단·거버넌스 확보 모색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T 해킹사태와 관련해 지난 7일 대국민 사과를 하며 머리를 숙이고 있다.   사진=연합이미지 확대보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T 해킹사태와 관련해 지난 7일 대국민 사과를 하며 머리를 숙이고 있다. 사진=연합
SK그룹이 SK텔레콤의 해킹 사고로 인해 그룹 전반의 보안 체계를 강화할 '정보보호 혁신위원회' 구성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지난 7일 대국민 사과의 후속조치다.

이날 재계에 따르면 SK그룹은 전날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주관하는 전략·글로벌위원회 회의에서 정보보호 혁신위원회의 방향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최 회장은 지난 7일 대국민 사과를 통해 "SK 전 그룹사를 대상으로 보안 체계 전반을 점검하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겠다"며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보보호 혁신위원회를 구성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정보보호 혁신위원회는 수펙스추구협의회를 중심으로 내·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형태로 꾸려질 예정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새로 꾸려질 정보보호 혁신위원회는 별도 위원회보다는 기존 위원회 산하에 꾸려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내부적으로는 ICT위원회나 거버넌스위원회 산하에 정보보호 혁신위원회를 꾸리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측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와 스페인 통신회사인 텔레포니카 등 보안 관련 위원회를 운영 중인 해외 IT 기업들의 사례 등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 회장이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객관적인 위원회 구성을 강조한 만큼 정보보호 혁신위원회에는 유수의 정보 보안 전문가와 학계 인사, 법조인 등이 합류할 전망이다. 내부적으로는 '화이트 해커' 섭외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보호 혁신위원회는 계열사의 보안 수준을 진단하고 위기 관리 체계 등을 점검하는 동시에 향후 그룹 차원의 보안 거버넌스 확보 방안과 대응력 강화 방안 등을 모색할 전망이다.

다만 아직 사고 원인 등에 대한 민관 합동 조사단의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보안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투자 규모를 확정하거나 정보보호 혁신위원회를 구성하는 작업이 다소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유인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inryu0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