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세에 "플랫폼으로 실적 보완 전략"
HVAC·전장 B2B '질적 성장'에 자신감
'텔레메틱스 1위' 기반 그룹사 협업 검토
HVAC·전장 B2B '질적 성장'에 자신감
'텔레메틱스 1위' 기반 그룹사 협업 검토

조 CEO는 지난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 기업과의 JDM 전략으로 한국 내 부품 생태계 약화가 우려된다는 질문에 "전 세계가 중국과 협업하고 있는데 스스로 극복하겠다고 하는 건 오만"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LG전자는 'LG 로보킹 AI 올인원' 등 일부 제품에 대해 중국과 JDM 형태로 제품을 기획·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럽 중저가 가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중국 기업과 냉장고·세탁기 신제품 공동 개발에 나섰다.
TCL과 하이센스 등 중국 가전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TV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LG전자는 글로벌 TV 시장에서 4위에 머무르고 있다.
이어 "당분간 경쟁 비용 등이 들겠지만, 포기해서는 안 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턴어라운드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TV사업부를 대상으로 단행한 희망퇴직에 대해서는 "설비·연구개발(R&D) 투자와 마찬가지로 인력 투자도 이어져야 한다"며 "훌륭한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를 가능하게 할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조 CEO는 LG전자가 냉각 설루션, 부품·장비, 전장 등 기업간거래(B2B)를 '질적 성장' 영역으로 정하고 추진하는 점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질적 성장 영역은 중국으로부터 굉장히 안전한 영역"이라며 "이런 영역에서 드라이브한다면 궁극적으로 LG전자의 포트폴리오는 건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냉난방공조(HVAC) 분야에서 대규모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냉각 설루션을 잇달아 공급하는 성과를 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에 들어설 예정인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도 수주했다.
조 CEO는 "네옴시티는 칠러뿐 아니라 냉각 설루션까지 들어가면 조 단위를 얘기하게 될 것"이라며 "글로벌 사우스를 공략하는 게 또 하나의 성장 동력"이라고 말했다.
전장에 대해서는 "요즘 전장만 바라보면 얼굴에 웃음이 지어진다"며 "LG전자 전장 사업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 분야에서 7∼8%의 높은 영업이익을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항공우주 사업 관련 계획을 두고는 "텔레메틱스 분야는 세계 1위이며, 보유하고 있는 통신 관련 표준특허도 글로벌 최상위권"이라며 "LG이노텍 등 그룹사와 협력해 사업화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CEO는 최근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출시한 '마이크로 RGB(빨강·초록·파랑) TV'에 대해서 "LG전자도 내년 초쯤 출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