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두산그룹, 아마존·엔비디아·스탠포드와 손잡고 피지컬 AI 협력 강화

글로벌이코노믹

두산그룹, 아마존·엔비디아·스탠포드와 손잡고 피지컬 AI 협력 강화

아마존·엔비디아 방문…물류 자동화·GPU 기반 AI 동향 확인
스탠포드 HAI와 산학 협력 심화…피지컬 AI 연구 교류
스타트업 퍼플렉시티·피지컬인텔리전스와 협업 논의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사진 가운데)이 22일(현지시각) 미국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방문해 AI 혁신사례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두산그룹이미지 확대보기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사진 가운데)이 22일(현지시각) 미국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방문해 AI 혁신사례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두산그룹


두산그룹이 글로벌 빅테크와 학계, 스타트업을 두루 만나며 인공지능(AI) 전환(AX) 전략 구체화에 나섰다. 제조·에너지·로보틱스 전반에 걸쳐 AI 혁신을 추진, 미래 경쟁우위를 선점하려는 행보다.

두산그룹은 박지원 부회장을 비롯한 자사주요 계열사 CEO와 CSO들이 22일(현지시각)부터 25일까지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아마존, 엔비디아, 퍼플렉시티, 스탠포드대학교 HAI 등 AI 선도기관과 교류한다고 23일 밝혔다.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 유승우 ㈜두산 사장,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부사장 등이 동행했다.

이번 출장의 핵심 의제는 그룹 차원의 AI 혁신 로드맵 수립이다. 두산은 제조현장뿐 아니라 경영·사무 영역까지 전사적 AI 전환을 추진해 생산성과 경쟁력을 동시에 높인다는 구상이다. 박지원 부회장은 "활용 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AI를 접목해야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다.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고 강조했다.
첫 일정은 아마존 본사 방문이었다. 두산 경영진은 AI 기반 음성비서 알렉사, 물류 자동화, 고객 패턴 분석 등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물류센터 현장에서 AI와 로보틱스 기술이 결합된 운영 프로세스를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제조와 서비스 전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혁신 과제를 발굴했다.

이어 엔비디아 본사에서 GPU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AI 동향을 공유받고, 피지컬 AI 및 에이전틱 AI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두산은 에너지·건설기계 분야 등 산업 특화형 피지컬 AI 적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이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피지컬 AI는 기계와 로봇에 인간 수준의 의사결정 능력을 부여해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스스로 판단·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두산 경영진은 스탠포드대학교 HAI를 방문해 최예진 교수 등 연구진과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최 교수는 글로벌 영향력 있는 AI 연구자로, '타임 100 AI'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두산은 지난 4월 글로벌 산업재 기업 최초로 HAI와 산학 협력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이번 만남에서 로보틱스와 전통 제조업에 적용될 AI 기술의 발전방향을 공유받았다.

또한 두산은 퍼플렉시티, 피지컬인텔리전스 등 스타트업들과도 협력을 논의했다. 이들은 피지컬 AI와 에이전틱 AI 영역에서 급성장 중이며, 두산의 제조·에너지 현장 혁신에 직접적인 협업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산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글로벌 AI 생태계와 연계해 자체 AX 전략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AI 전문가 확보, AI 친화적 조직 문화 구축, 전사적 AI 기반 업무 프로세스 혁신 등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추진하며, 제조와 서비스 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