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최대 7500달러 전기차 구매 보조금 30일 폐지
보조금 없어지며 전기차 시장 판매 위축 불가피해
국내 업계 수익성 도움 준 AMPC 규모 축소 예상돼
보조금 없어지며 전기차 시장 판매 위축 불가피해
국내 업계 수익성 도움 준 AMPC 규모 축소 예상돼

2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전기차 구매 시 제공되던 대당 최대 7500달러(약 1000만원) 세액 공제 혜택이 이달 30일 종료된다. 보조금 지급은 애초 2032년까지 유지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미국 의회를 통과하며 7년 앞당겨졌다. 다행인 점은 보조금 지급 기준이 '차량 인도 시점'에서 '계약금 지급 시점'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9월에 차량을 계약한다면 차량 인도 시점이 10월 이후여도 구매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미국 전기차 시장은 주춤할 수밖에 없다. 보조금이 사라지면 차량 가격이 높아지고, 이는 전기차 수요 감소와 배터리 판매 부진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북미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에 배터리 업계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을 줬던 AMPC 규모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AMPC는 미국 내 생산 제품에 대해 세액 공제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 1~2분기 누적 기준 국내 배터리 셀 제조 3사는 1조5685억원을 받았다.
업계는 ESS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해 전기차 판매 부진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다만 아직 전기차용 배터리가 매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ESS용과 제품 쓰임이 달라 전기차의 자리를 대체하는 것은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결국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전기차 가격이 내연기관차와 비슷한 수준까지 내려가야 한다는 것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ESS라는 새로운 기회가 생긴 것이지 이것이 전기차 빈자리를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결국 전기차 가격이 내연기관과 같아져 보조금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