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AI비서가 집안을 쾌적하게"…LG전자, AI 홈 허브 'LG 씽큐 온' 출시

글로벌이코노믹

"AI비서가 집안을 쾌적하게"…LG전자, AI 홈 허브 'LG 씽큐 온' 출시

LG 씽큐 온과 연동해 활용하는 스마트 플러그·센서 등 ‘LG IoT 디바이스’도 출시
전문 설치 엔지니어가 방문해 집 안 AI 가전과 IoT 기기 등 연결해 맞춤형 AI 홈 구성
집 안 가전과 IoT 기기를 24시간 연결 상태로 유지하며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LG AI 홈의 핵심 기기 'LG 씽큐 온'. 사진=LG전자이미지 확대보기
집 안 가전과 IoT 기기를 24시간 연결 상태로 유지하며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LG AI 홈의 핵심 기기 'LG 씽큐 온'. 사진=LG전자
LG전자가 인공지능(AI) 홈 허브 ‘LG 씽큐 온’을 본격 출시한다. 고객이 일상 언어로 대화하면 AI가 맥락과 공간을 이해해 연동된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제어하고 서비스까지 연결하는 AI홈 솔루션을 선보인다.

LG전자는 22일 온라인브랜드샵을 시작으로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LG 씽큐 온과 ‘LG IoT 디바이스’를 국내에 순차 판매한다고 밝혔다. LG 씽큐 온은 생성형 AI가 탑재돼 고객과 일상 언어로 대화할 수 있다. 과거 음성인식 스피커가 단답형 질문에 단순한 답과 정해진 명령을 이행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복잡한 명령을 내려도 기억하고 실행한다. 여러 가전을 한 번에 켜고 끄거나 공간별로 기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LG 씽큐 온은 집 안 가전과 IoT 기기를 24시간 연결 상태로 유지하며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LG AI 홈의 핵심 기기다. 올해 레드닷과 iF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 세련된 원통형 디자인은 어느 공간에 두어도 잘 어울린다.

IoT 기기 연결이 익숙하지 않은 고객도 씽큐 온 구매 시 전문기사 설치를 선택하면 전문 설치 엔지니어가 방문해 고객이 원하는 대로 맞춤형 AI 홈을 구성해 준다. 집 안의 AI 가전, IoT 기기 등과 씽큐 온의 연결을 비롯해 음성/원격 제어, 가전 업그레이드하는 법까지 알기 쉽게 소개한다.

패키지로 AI홈 구성을 손쉽게

고객이 일상 언어로 대화하면 맥락과 공간을 이해해 연동된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고 서비스까지 연결하는 'LG 씽큐 온'을 체험하는 모습. 사진=LG전자이미지 확대보기
고객이 일상 언어로 대화하면 맥락과 공간을 이해해 연동된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고 서비스까지 연결하는 'LG 씽큐 온'을 체험하는 모습. 사진=LG전자


LG전자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씽큐 온과 IoT 기기로 구성한 AI 홈 패키지도 선보인다. 최적의 맞춤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싶은 고객은 씽큐 온과 스마트 조명 스위치, 스마트 전구 등으로 구성된 웰슬리핑 패키지가 편리하다. 전용 앱을 통해 설정된 취침 시간에 맞춰 조명이 서서히 어두워지는 동시에 에어컨, 공기청정기는 저소음 모드로 동작하고 연결된 IoT 블라인드는 자동으로 닫히는 등 쾌적한 수면을 돕는다.

△스마트 버튼 △공기질 센서 △온/습도 센서 △도어 센서 △모션/조도 센서 △스마트 플러그 △스마트 조명 스위치 △스마트 도어락 등 다양한 LG IoT 디바이스를 포함한 ‘스마트스타트’ 패키지를 구매하면 집 안 전체를 나만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AI 홈으로 조성할 수 있다.

스마트 기능이 없는 가전도 씽큐 온과 IoT 기기를 활용하면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스마트 플러그를 헤어드라이어나 선풍기 등에 연결하면 외출시에도 씽큐 앱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스마트 조명 스위치를 설치하면 조명을 음성이나 원격으로 간편하게 켜고 끌 수 있다.

‘LG 쉴드’로 보안이 강화된 AI 홈

고객이 일상 언어로 대화하면 맥락과 공간을 이해해 연동된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고 서비스까지 연결하는 'LG 씽큐 온'을 체험하는 모습. 사진=LG전자이미지 확대보기
고객이 일상 언어로 대화하면 맥락과 공간을 이해해 연동된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고 서비스까지 연결하는 'LG 씽큐 온'을 체험하는 모습. 사진=LG전자

LG전자는 씽큐 온과 연동된 다양한 AI 가전 및 IoT 기기의 안전한 연결과 데이터 보호를 위해 자체 보안 시스템인 ‘LG 쉴드’를 적용했다. LG 쉴드는 제품 개발 단계부터 분석·설계·구현·검증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취약점을 제거하고 보안 검증을 통과한 제품에 부여되는 LG전자의 보안 시스템이다.

개인정보 등 민감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키를 분리된 공간에 저장해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작동 코드나 데이터를 변조할 수 없도록 보호한다. 최신 암호 기법을 적용해 데이터를 보호하고 위협‧침입을 실시간 탐지해 차단한다.

LG 씽큐 온은 개방형 스마트홈 연동 표준인 매터 인증을 받아 폭넓은 연결성도 갖췄다. 와이파이(Wi-Fi), 쓰레드(Thread) 등 다양한 연결 방식을 지원해 다양한 국내외 가전과 IoT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LG 씽큐 앱의 통합 허브 앱스토어 ‘씽큐 플레이’를 활용하면 씽큐 온과 연동되는 △캘린더 △택시 예약 △음악 스트리밍 △날씨 등 약 800개의 다양한 앱 서비스와 다양한 제조사의 스마트 IoT 기기도 활용할 수 있다.

LG전자는 AI 홈을 고객이 머무는 다양한 공간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모듈러 주택 ‘스마트코티지’,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슈필라움’, 씽큐 ‘아파트 단지 연결 서비스’ 등 제품부터 서비스까지 결합한 AI 공간 솔루션을 통해 고객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류재철 LG전자 HS사업본부장 사장은 “‘LG 씽큐 온’은 일상 대화를 통해 마치 친구처럼 공감하며 소통하는 AI 홈의 핵심 허브”라며, “생성형 AI로 가전을 제어하고 고객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안하는 차별화된 AI 홈 고객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LG 씽큐 온의 출하가는 24만6000원, LG IoT 디바이스는 4만~51만3000원이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