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서 LH와 공동 전시
이미지 확대보기국토교통부가 주최하는 이번 엑스포는 최신 스마트 건설 기술을 선보이는 대규모 전시회다. 올해 250여개 업체가 참가한다. 삼성전자는 LH 전시장에 1인·2인 가구를 위한 51㎡ 규모의 'AI 홈' 기반 모듈러 홈 솔루션을 구현했다. 삼성 '모듈러 홈 솔루션'은 모듈러 건축에 최적화된 스마트싱스 기반 인공지능(AI) 홈 솔루션이다. AI 가전과 센서·조명·도어락 등 사물인터넷(IoT) 기기, 냉난방공조 시설 등 건축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기기들이 스마트싱스를 중심으로 연결된다.
방문객들은 현관·주방·거실·침실·세탁실 등 5개 공간으로 구성된 공간에서 'AI 홈' 솔루션이 제공하는 △쉽고 편리함(Ease) △시간과 에너지 효율(Save) △나와 가족의 건강(Care) △강력한 보안과 안전(Secure)의 4가지 핵심 가치를 직접 경험할 수 있다.
방문객들은 △4mm의 간격만 있어도 주방 가구장에 빌트인처럼 빈틈없이 딱 맞게 설치할 수 있는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4도어 키친핏 맥스' 냉장고 △원격 제어와 AI 기능으로 안심을 더한 '비스포크 AI 인덕션' △국내 유일·최대 건조 용량에 건조 효율을 크게 높인 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등 비스포크 AI 가전 라인업도 만나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모듈러 홈 현관에서는 스마트싱스로 연결된 스마트 도어락과 도어벨을 통해 안전하고 간편한 출입을 돕는 보안 솔루션과 사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가전 제품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능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주방에서는 △냉장고 스크린에서 날씨·일정·식단 추천 등 맞춤형 정보를 요약해 제공하는 '데일리 보드' △냉장고에 들어오고 나가는 식재료를 인식해 자동으로 푸드 리스트를 생성해주는 'AI 비전 인사이드' △빅스비 호출 없이도 "냉장고 문 열어줘"라고 말하면 냉장고 문을 자동으로 열 수 있는 '오토 오픈 도어' 등의 기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주방에서 연기나 누수가 발생한 경우 감지 센서와 연동된 가전 제품이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낸다. 거실에선 △가전은 물론 블라인드·조명 등 IoT 기기까지 스마트싱스로 연결된 집안 기기들을 한눈에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싱스 '맵뷰' △스마트싱스에 연동된 삼성 제품이 주변에 있으면 삼성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제어하고 동작 시간 등도 확인할 수 있는 '빠른 리모컨' 등을 사용해볼 수 있다.
침실에서는 스마트싱스 앱에서 미리 생성해둔 취침 루틴을 실행하면 조명과 에어컨을 조절해 숙면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 지난밤 수면 환경을 요약해 보여주고 쾌적한 수면을 위한 개선 방안도 제안하는 '수면 환경 리포트' 기능도 만나볼 수 있다.
모듈러 건축과 함께 턴키 방식으로 제공돼 입주자는 입주 후 로그인만 하면 삼성전자 AI 홈이 제공하는 스마트하고 안전한 일상을 바로 누릴 수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독일에서 열린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삼성물산과 '모듈러 홈 솔루션'을 처음 선보인 데 이어 LH와 협업전시를 통해 '모듈러 홈 솔루션'을 국내에도 소개하는 등 모듈러 홈 솔루션 사업을 국내외로 적극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양혜순 삼성전자 DA사업부 부사장은 "LH와 협업해 AI 홈을 적용한 스마트 모듈러 주택을 선보이게 됐다"며 "스마트 모듈러 홈 솔루션을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혁신을 제공하고, 차세대 주거 환경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