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데스크칼럼] 금융권, 기후변화 따른 기후금융 강화해야

공유
0

[데스크칼럼] 금융권, 기후변화 따른 기후금융 강화해야

정준범 증권부장이미지 확대보기
정준범 증권부장
먼 미래, 남의 일 같던 기후변화 문제가 일상 속으로 다가왔다.

지난 13일 끝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선 각 나라별로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모습을 나타냈다.
총회의 최대 관심사는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phase out)'이 합의문에 포함되는지였는데, 200개국 가운데 절반이 이 문구가 들어가야 한다고 줄기차게 요구했다.

구체적으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넷제로)을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공정하고 질서 정연하고, 공평한 방식으로 에너지 체계에서 화석연료에서 벗어나는 전환을 개시할 필요가 있다"고 규정했다.

비록 화석연료의 퇴출까진 이르지 못했지만 화석연료 시대를 끝내고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큰 방향을 공식화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후변화가 몰고 오는 환경변화에 금융권의 역할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사회변화의 핵심 동력 중 하나는 바로 자본의 이동이다. 자본이 고탄소 산업에서 저탄소, 궁극적으로 탈탄소 산업에 대규모로 그리고 빠른 속도로 유입되어야만 실질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그 때문에 기후변화 대응에서 금융은 핵심적 역할을 해야 한다.

기후변화는 최근 몇 년간 금융시장에서도 중요한 이슈로 부상해왔다. 금융권에서도 기후변화로 인한 시장의 변화와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과 제도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한 외신에 따르면 에너지 회사, 기후 위기 관련 금융상품 등의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시카고상품거래소 기준, 올해 9월까지 기후 관련 선물 및 옵션 등 파생상품에 대한 평균 미결제 약정이 전년 동기 대비 4배, 2019년 대비 12배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금융사들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기준을 기반으로 한 경영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일례로 기후 친화적인 기업에 투자하거나 친환경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등의 방식으로 ESG를 통한 지속가능한 투자를 증가시키고 있다.

투자자들도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둬야 할 시기가 왔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투자자들은 몇 가지 전략과 접근법을 고려할 수 있다.

우선 ESG 투자를 들 수 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ESG 기준을 고려한 투자 의사 결정이 필요하다. ESG 투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환경적 성과, 지배구조에 주목하여 투자하는 방식이다.

또한 친환경 투자에도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친환경 기업이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등 환경에 친화적인 기업에 투자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배구조와 관련해 기후변화 리더십을 갖춘 기업에 투자하는 것도 고려 대상이다. 기후변화에 잘 대응하여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기업들에 주목해야 한다.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한 기업들을 의미한다.

투자를 고려하는 기관이나 펀드의 기후변화 정책을 확인하고 이에 부합하는 투자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 기후변화에 대한 투자 정책이 명확한 기관들은 종종 이를 공개하고 있다.

사회적 참여와 의식 확산도 필요해 보이는데 지속가능한 투자와 기후변화에 대한 교육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전략들은 투자자들이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금융권 입장에서 기후금융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전망이다. 위험관리 수단인 동시에 새로운 금융시장이기도 하며 미래세대를 위한 착한 금융의 선택, 그 길에 기후금융의 필요성이 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key@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