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자동차 관세 완화, 日 자동차 제조사 희비 엇갈려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자동차 관세 완화, 日 자동차 제조사 희비 엇갈려

미국 현지 생산율 70% 혼다는 수혜...마쓰다·미쓰비시는 타격
"수입 부품 15% 상쇄" 정책에도 85% 현지 조달은 어려운 과제
혼다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혼다 로고.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자동차 관세 완화 조치가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 사이에 희비를 엇갈리게 하고 있다. 미국 현지 생산 비율이 높은 혼다 자동차는 혜택을 볼 전망이지만,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마쓰다와 미쓰비시 자동차는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1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4월 29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 명령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완성차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해 부분적 관세 면제가 적용된다. 국내 및 외국 자동차 제조업체 모두 미국에서 조립된 차량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관세 상쇄를 받게 된다.

이 상쇄 조치는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와 관련이 있으며, 완성차에 대한 제조업체 권장 소매 가격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3.75%의 관세 감면 효과를 제공한다. 관세 면제는 1년간 유효하며, 두 번째 해에 부분적으로 축소된 후 세 번째 해에는 완전히 종료된다.

이러한 관세 정책은 결국 자동차 제조업체가 미국에서 더 많이 생산하고 현지에서 조달한 부품을 사용할수록 관세 비용이 줄어드는 구조다. 또한,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가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 위에 "누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 중에서는 혼다가 가장 큰 혜택을 볼 것으로 보인다. 노무라 증권 등의 자료에 따르면, 혼다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자동차의 약 70%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어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중 가장 높은 현지 생산 비율을 자랑한다. 반면 토요타 등 다른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미국 현지 생산 비율이 약 50~60% 수준이다.

상황이 가장 어려운 곳은 마쓰다와 미쓰비시다. 마쓰다는 미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자동차의 약 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미쓰비시는 미국 시장 판매 차량 전부를 수입하고 있다. "그 영향은 자동차 회사마다 크게 다를 것"이라고 일본 자동차 회사의 한 관리자는 말했다.

그러나 미국에서 대규모 생산 설비를 갖춘 회사들도 부품의 현지 조달을 늘리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상쇄가 시행되면 85%의 미국산 콘텐츠로 조립된 차량은 사실상 관세가 면제되지만, 현재 어떤 제조업체도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GM, 포드, 스텔란티스로 구성된 '디트로이트 3인방'은 평균적으로 국내에서 판매되는 차량 부품의 60% 정도를 수입한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의 경우 이 수치는 약 40~50%다. 심지어 테슬라도 부품의 약 3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바클레이즈의 애널리스트 댄 레비는 "주요 관세 역풍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디트로이트 3인방의 압력으로 트럼프는 자동차 부품 관세를 일부 완화했지만, 완전히 철회하지는 않았다.

GM의 메리 바라 CEO는 성명을 통해 트럼프에게 감사를 표하고 미국 일자리 보호 목표에 공감을 표했다. "대통령의 리더십이 GM과 같은 기업들의 경쟁의 장을 평준화하고 미국 경제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고 그녀는 말했다.

그러나 부품에 대한 관세는 여전히 자동차 산업에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미국에 본부를 둔 자동차 연구 센터에 따르면, 관세로 인해 미국 자동차 산업 전체에서 약 1080억 달러의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트로이트 3인방이 짊어져야 할 비용은 41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약 절반은 부품에 대한 관세에서 발생할 것이다.

미국 자동차 부문을 대표하는 6개 단체는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에 반대하는 공동 서한을 보내는 이례적인 조치를 취했다. "많은 공급업체들이 이미 곤경에 처해 있으며 생산 중단, 정리해고, 파산에 직면할 것"이라고 4월 21일자 서한은 경고했다.

미국 내 일자리 창출이라는 행정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국내 투자를 크게 늘려야 하지만, 미국의 높은 인건비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할 때 쉽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다.

결국, 이번 관세 완화 조치는 자동차 회사들에 미국 내 생산과 부품 조달을 늘리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시에, 완전한 현지화까지는 2년의 유예 기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