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너믹 사설] 중국 이탈 자금 몰리는 인도 증시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글로벌이코너믹 사설] 중국 이탈 자금 몰리는 인도 증시

중국 증시를 이탈한 자금은 일본과 인도로 몰리는 추세다. 사진은 인도 봄베이 증권거래소. 사진=AF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증시를 이탈한 자금은 일본과 인도로 몰리는 추세다. 사진은 인도 봄베이 증권거래소. 사진=AFP/연합뉴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신흥국 시장 지수에서 인도 주식 비중을 17.9%에서 18.2%로 높였다.

2년 만에 2배가량 확대된 수치다. 신흥국 시장 지수에서 중국 증시 비중을 줄이는 대신 인도 주식 비중을 늘린 결과다.
MSCI에서 중국 주식은 66개 줄어든 704개다. 비중으로 보면 0.31%p 줄어든 24.80%다. 인도 주식시장과 중국이 대체시장 역할을 하는 셈이다.

중국 증시를 이탈한 자금은 일본과 인도로 몰리는 추세다.
인도 증시 시총은 1년 새 34% 늘어난 4조6000억 달러 규모다. 이미 홍콩과 선전 시장의 시총 규모를 앞서 세계 4위로 올라선 상태다.

중국과 달리 증가하는 인구도 인도 증시로 자금을 끌어들이는 요인이다. 인도 경제도 올해 7% 성장을 예상 중이다.

인도 증시 대표 지수인 ‘니프티50’의 최고치 경신을 이어나가게 만든 동력이다. 인도 증시에 투자한 국내 투자자의 펀드 수익률도 상승세다.

하지만 모디 정부의 간섭주의 경제정책은 증시 악재다. 기업 투자 측면에서 보면 방해 요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해 8월의 노트북 수입 제한 조치다.

국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서라는 취지지만 기업을 혼란에 빠트리기에 충분했다. 온라인 복권 판매에 28%의 세금을 징수하기로 하면서 15억 달러짜리 비즈니스를 없앤 7월의 조치도 마찬가지다.

인도의 규제정책이 기업의 장기투자를 가로막고 있는 셈이다.

외국인 투자나 인도 기업의 고객은 2000만 명에 달하는 부자 계층이다. 이들은 한결같이 호화주택에 거주하며 유럽산 자동차 등 고급 소비재를 선호한다.

애플의 경우 생산공장을 중국서 인도로 옮기는 중이다. 하지만 아이폰의 인도 점유율은 5%에 불과하다. 생산 비중 7%에도 못 미친다. 14억 명 중 대다수가 식품과 연료비를 걱정하는 계층이기 때문이다.

한국이 중국의 대체 투자지로 부상하지 못하는 이유도 기업 유치를 막는 각종 규제라는 점을 명심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