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국가 소멸 위기로 치닫고 있는 한국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있다. 세계의 주요 언론은 사상 최저치로 내려가고 있는 한국의 출산율 소식을 대대적으로 생중계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한국이 조금 앞서가고 있을 뿐이고, 다른 나라들도 곧 ‘제2의 한국’이 된다는 사실을 잘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은 지금 ‘출산 촉진(pronatalist)’ 정책을 총동원하고 있다. 현금 지급, 부모 유급 휴가, 보육과 탁아 지원 등 친(親)가족 정책이 세계 곳곳에서 속속 나온다. 유럽 국가들은 1980~1990년대에 이미 출산율 급락 사태에 직면했기에 다른 나라에 비해 조금 앞서 나가고 있다. 오스트리아는 출산 휴가를 2.5년으로 늘렸다. 독일은 1세 이상 모든 아동에 대해 ‘보육받을 권리’를 부여했다. 러시아 정부는 두 번째 자녀부터 출생하면 7000달러를 준다. 이탈리아와 그리스도 정부도 출생 보너스를 지급한다. 헝가리는 신생아 보육 지원을 위해 3만 달러까지 대출을 해주고, 셋째가 태어나면 이 대출금을 탕감해 준다.
그렇다고, 이대로 국가 소멸 사태를 지켜볼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인구 문제 전문가들은 코로나 팬데믹 당시에 주요국의 출생률 변화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팬데믹이 지구촌을 강타하자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회적 불안과 공포로 출산율이 내려갔다. 반면에 노르웨이와 핀란드 등 일부 국가에서는 출산율이 거꾸로 올라갔다. 핀란드의 인구학자 제시카 니센은 “팬데믹 혼란 속에서도 정부가 사태를 잘 해결할 것이라는 신뢰도가 높은 소수의 국가에서 출산율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가 출산 장려책을 검토하면서 국민적 신뢰도를 끌어올리는 데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