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美 완화적 통화정책…환율 영향은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美 완화적 통화정책…환율 영향은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연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연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연준의 통화정책 목표는 고용안정과 인플레이션을 2% 내외로 유지하는 것이다.

연준이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0.25%P씩 내린 것은 고용시장의 하방 압력을 고려한 선제적 예방 조치인 셈이다.

기업의 신규 고용이 줄고 있는 데다 해고를 진행하는 곳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트럼프 2기 정부의 이민정책도 신규 노동력 공급을 줄일 게 분명하다. 고용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줄어들면 연준의 최대 고용 목표를 지속하기 어렵다.
금리인하보다 더 큰 관심사는 양적긴축 정책(QT)의 종료다. 12월부터 지난 2년간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매각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해 오던 QT를 마무리하기로 한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만기 도래한 MBS 자금을 재무부 단기국채에 재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힌 상태다. 양적긴축을 끝내면 미 국채 금리는 낮아진다.

대차대조표 축소라고 불리는 양적긴축은 연준 보유 채권을 처분하는 방식으로 유동성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한·미 간 금리차는 1.50%P로 좁혀진 상태다.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도 하향 안정세다. 환율이 큰 폭으로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한국의 통화량이 미국보다 더 많이 풀린 결과다.

최근 달러지수의 강세도 알고 보면 유로화와 영국 파운드, 스위스 프랑, 엔화, 캐나다 달러의 상대 가치가 하락한 영향이 크다.

게다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연간 200억 달러씩 10년간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것도 원화 약세 요인이다. 게다가 조선업에 1500억 달러 등 기업 투자액도 상당하다.

원·달러 환율이 연말까지 1400원 아래로 떨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이유다. 원·달러 환율은 향후 위안·엔화 등의 추이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일단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과 금융시장 변동성이 해소된 만큼 대미 수출과 투자 수익성 등을 따져봐야 할 시점이다.

금융당국도 자금이 생산적 분야로 흐를 수 있는 정책 마련에 힘써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