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에콰도르 SECA, 자동차·인프라 진출 유망...코트라, 수출유망상품·협력기회 보고서 발간

글로벌이코노믹

한-에콰도르 SECA, 자동차·인프라 진출 유망...코트라, 수출유망상품·협력기회 보고서 발간

사진=코트라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코트라


한국과 에콰도르가 지난 2일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 Strategic Economic Cooperation Agreement)에 정식 서명함에 따라 우리 기업의 중남미 수출 활로가 크게 넓어질 전망이다.

협정 발효 시 자동차·부품에 대한 관세가 철폐돼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도로·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양국 간 경제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트라는 SECA 서명을 계기로 ‘한-에콰도르 SECA 발효 시 수출 유망상품 및 협력기회’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SECA 발효에 따른 10대 유망 수출 품목을 선정하고, 에콰도르의 산업·정책 환경을 분석해 양국 간 협력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제시했다.
SECA 발효로 관세가 철폐되는 품목 가운데 한국의 시장 점유율이 높고, 에콰도르의 수입 수요가 많은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특히 자동차·부품은 정제유를 제외한 에콰도르 최대 수입 품목으로, 협정 발효 시 자동차 부품에 부과되던 15% 관세가 즉시 철폐된다. 완성차에 대한 35~40% 고율 관세도 1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철폐되며, 하이브리드 차량은 5년 이내 관세가 전면 철폐돼 친환경차 분야에서 조기 효과가 기대된다.

또 에콰도르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확대 정책과 맞물리며 전기·하이브리드 차량, 배터리 등 관련 부품 수요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도 △건설 중장비(현행 관세 5~10%) △전력 기자재 및 부품(0~5%) △의약품과 백신(0~5%) △의료장비(5%)가 유망 품목으로 꼽혔다. 한류 확산에 따라 화장품(20%)과 라면(30%) 등 소비재 역시 단계적으로 관세가 철폐돼 수출 여력이 커질 전망이다.

이지형 코트라 부사장 겸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한-에콰도르 SECA가 발효되면 우리 기업이 글로벌사우스 지역인 중남미 시장으로 수출을 다변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코트라는 키토무역관을 중심으로 우리 기업이 에콰도르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앞서 코트라는 ‘에콰도르 전력 위기 분석 및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 보고서를 통해 현지 산업 동향과 조달 절차, 기자재 수출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