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한국폴리텍대학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가 제조 기반 피지컬AI 기술을 산업 현장으로 확산시키고 X-AI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한국폴리텍대학은 지난 2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피지컬AI(Physical AI) 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 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나라 제조 역량을 살린 피지컬AI로,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자는 양 기관의 뜻을 모아 추진됐다.
폴리텍대는 정부가 추진 중인 ‘모두의 AI’, ‘X-AI 융합인재 양성’ 정책 기조와도 맞물려 차세대 기술 인재 배출 효과가 기대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인적 교류 및 공동 연구 지원·협력 △피지컬AI 분야 우수인재 교육 △인력·시설·장비를 활용한 제조 피지컬AI 기반 창업 플랫폼 구축 △제조 피지컬AI 분야 공동 정책연구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폴리텍대학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AI·로봇·센서 융합 분야의 실무 중심 교육체계를 고도화하고, 학생들이 피지컬AI 관련 산업 현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방침이다.
양 기관은 협약의 일환으로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열린 '2025 피지컬AI 글로벌 포럼' 연계 세션 '인재 양성 전략'을 주관했다. KAIST 장영재 교수는 'AI 전환기, 융합인재 확보 방안'을, 폴리텍대학 이혜정 교수는 'X-AI와 기술인재 양성 전략'을 발표했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























![[실리콘 디코드] "글로벌 톱5도 꼼짝 못한다"…반도체 '소재의 소...](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211014809049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