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폴리텍대학, KAIST와 피지컬 AI 인재 양성 '맞손'...현장형 직업교육과 R&D 결합

글로벌이코노믹

폴리텍대학, KAIST와 피지컬 AI 인재 양성 '맞손'...현장형 직업교육과 R&D 결합

한국폴리텍대학 이철수 이사장(오른쪽)과 한국과학기술원 이광형 총장이 20일 업무협약식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폴리텍대학이미지 확대보기
한국폴리텍대학 이철수 이사장(오른쪽)과 한국과학기술원 이광형 총장이 20일 업무협약식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가 제조 기반 피지컬AI 기술을 산업 현장으로 확산시키고 X-AI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한국폴리텍대학은 지난 2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피지컬AI(Physical AI) 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 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나라 제조 역량을 살린 피지컬AI로,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자는 양 기관의 뜻을 모아 추진됐다.
양 기관은 협약을 기반으로 폴리텍대학의 현장형 직업교육과 KAIST의 연구개발(R&D) 강점을 융합해 산업 현장으로 기술 확산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폴리텍대는 정부가 추진 중인 ‘모두의 AI’, ‘X-AI 융합인재 양성’ 정책 기조와도 맞물려 차세대 기술 인재 배출 효과가 기대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인적 교류 및 공동 연구 지원·협력 △피지컬AI 분야 우수인재 교육 △인력·시설·장비를 활용한 제조 피지컬AI 기반 창업 플랫폼 구축 △제조 피지컬AI 분야 공동 정책연구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폴리텍대학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AI·로봇·센서 융합 분야의 실무 중심 교육체계를 고도화하고, 학생들이 피지컬AI 관련 산업 현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방침이다.

양 기관은 협약의 일환으로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열린 '2025 피지컬AI 글로벌 포럼' 연계 세션 '인재 양성 전략'을 주관했다. KAIST 장영재 교수는 'AI 전환기, 융합인재 확보 방안'을, 폴리텍대학 이혜정 교수는 'X-AI와 기술인재 양성 전략'을 발표했다.
이철수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은 "현장형 피지컬AI 전문가 양성과 산업 현장 확산을 위해 폴리텍대학과 KAIST가 손을 잡았다"며 "KAIST의 지식에 폴리텍대학의 현장 기술을 결합해 피지컬AI 생태계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