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가구 평균 순자산 2억5402만원
10.15 대책에 대출 한도 4억1023만원
입법조사처 “디딤돌대출 현실화해야”
10.15 대책에 대출 한도 4억1023만원
입법조사처 “디딤돌대출 현실화해야”
이미지 확대보기25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국회입법조사처는 전일 발표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주요 내용과 과제’ 현안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12억4000만원의 주택을 LTV(담보인정비율) 40% 규제 하에서 사려면 최소 7억4400만원의 자기 자본이 필요하다.
문제는 수도권 전세가구 평균 순자산이 통계청 2024년 기준 5억4738만원이어서 저자산 가구는 서울 등 규제지역 아파트 구매에 제약이 생긴다는 점이다.
특히 결혼과 출산 시기인 30대 가구(30~39세)의 평균 순자산이 2억5402만원인 것을 고려하면 규제지역에서 주택 구입에 필요한 평규 자기자본(6억원 이상)을 마련하기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입법조사처의 지적이다.
입법조사처는 “서울의 전세가율이 51.8%임을 고려할 때 전세보증금을 활용해도 LTV 40%에 따른 자금 부족분 약 8.2%포인트(p)를 보충하기 어렵다”며 “주담대 규제가 투기 억제에 기여할 수 있지만 저자산 가구의 내 집 마련을 저해하지 않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입법조사처는 주택구입자금 정책 대출의 소득 기준과 대출 한도를 현실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디딤돌대출은 부부합산 연소득 6000만원 이하(생애 최초·2자녀 이상 7000만원, 신혼 8500만원 이하) 주택 구입시 LTV 최대 70%, DTI 최대 60%로 최대 2억4000만원(신혼·2자녀 3억2000만원)을 대출해준다.
또 규제지역 1주택자의 갈아타기에 대해서도 “자녀 교육, 직장 이동, 가족 돌봄 등 불가피한 사유로 이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토지거래허가 신청 시 우선적으로 허가를 진행하거나 주택담보대출 및 전세대출 규제를 일부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