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지투파워, 카자흐스탄 ‘K-MAX그룹’과 MOU체결....중앙아시아 본격 진출 기대

글로벌이코노믹

지투파워, 카자흐스탄 ‘K-MAX그룹’과 MOU체결....중앙아시아 본격 진출 기대

카자흐스탄 K-MAX그룹 社 유가이 막심(Maxim Yugai) CEO(사진 좌측)와 지투파워 이동준 부사장(CTO, 우측)이 MOU를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지투파워이미지 확대보기
카자흐스탄 K-MAX그룹 社 유가이 막심(Maxim Yugai) CEO(사진 좌측)와 지투파워 이동준 부사장(CTO, 우측)이 MOU를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지투파워


스마트그리드 전문기업 지투파워(388050, 대표이사(회장) 김영일)는 카자흐스탄 현지의 파트너사(K-MAX그룹)와 MOU를 체결했다고 7월 24일 밝혔다.

지투파워는 7월 22일 카자흐스탄의 에너지 전력설비 전문기업인 K-MAX그룹과 지투파워의 AI배전반, 태양광발전장치, ESS 제품 공급과 솔루션의 제공, 시설 및 현지 진출 지원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카자흐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스마트그리드 시장 공략에 나섰다.

파트너사인 ‘K-MAX그룹’은 카자흐스탄을 대표하는 에너지 전력설비 전문기업으로 배전반 제품을 포함하여 전력설비 제품을 생산 및 공급하는 회사로, 이번 지투파워와 전략적 업무제휴를 통해 사업영역을 중앙아시아 시장 및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의 공동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전력설비의 노후화가 심각한 상황으로 65%가 20년 이상, 31%가 30년 이상 사용되어 전력공급 단계부터 전력 손실과 에너지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노후화된 인프라를 교체하는 등 국가 차원의 전력설비 투자가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지투파워는 자사의 첨단 기술이 적용된 지능형 AI 배전반과 신기술(NET)기반의 태양광발전 시스템, 그리고 액침냉각형 ESS 제품을 K-MAX그룹의 영업망을 통해 카자흐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시장에 빠르게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대국으로 세계 최대의 우라늄 생산국이자 다양한 핵심 광물(석유 및 희토류 등)을 보유한 나라로 23년 기준 전력 생산은 57%가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구조다.

그러나, 이제는 다원화된 에너지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맞고 있어 태양광발전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의 시장 또한 큰 폭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카자흐스탄 정부가 본격 추진 중인 ‘에너지 믹스 재편’ 정책은 단순한 전력 확보가 아닌 기후 정책, 산업구조 전환, 에너지 주권 확보라는 목표를 달성하려는 전략적 선택이다. 카자흐스탄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24년 기준으로 전체 전력 생산의 6.4%를 차지하고 있으나, 카자흐스탄 정부는 ‘에너지 믹스 재편’을 위하여 중장기적으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15%, 2050년까지 50%까지 전환할 계획이다.

지투파워의 기술혁신을 총괄하고 있는 이동준 부사장(CTO)은 “이번 K-MAX그룹과 MOU 체결은 양국 기업 간의 돈독한 협력관계를 통해 카자흐스탄 현지 법인설립 및 기업의 인수합병(M&A)을 추진할 것이며, 배전반과 태양광발전장치 및 ESS의 신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앙아시아(CIS)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의 교두보를 확보하여 양사가 공동으로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투파워는 CMD(상태감시진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배전반, 신재생에너지 태양광발전시스템, ESS(에너지저장장치) 중전기기 분산형 에너지 자원을 AI, loT기술을 이용하여 가상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에 연계함으로써 분산형 디지털 전력체계인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추진하는 회사이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