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스테이블 원' 미디어 쇼케이스 개최
스테이블코인 전용 메인넷 내년 1분기 내 론칭
공공 정책 중요성, 컨소시엄 통한 시장 진출 강조
스테이블코인 전용 메인넷 내년 1분기 내 론칭
공공 정책 중요성, 컨소시엄 통한 시장 진출 강조

위메이드가 게임 블록체인 위믹스(WEMIX) 사업을 추진해오다 원화 스테이블코인(가치안정화폐)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위메이드는 공공 정책 중심의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지지했으며 컨소시엄을 구축하는 선도 기업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서울 중구 소재 앰버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선 18일 오전 11시 '프로젝트 스테이블 원' 미디어 쇼케이스가 열렸다. 위메이드에서 위믹스 사업 실무를 맡고 있는 김석환 부사장과 안용운 최고 기술 책임자(CTO), 김원상 사업실장 등이 연사로 나서 사업 배경과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위믹스 재단(WEMIX Pte. Ltd.) 대표를 겸하고 있는 김 부사장은 쇼케이스 기조 연설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K-금융 세계화'를 화두로 제시했다. 특히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있어 공공의 역할을 강조했다.
김 부사장은 "미국의 지니어스 액트(스테이블코인 국가 혁신 지침 및 확립법)는 공공성과 연계된 조항은 크게 존재하지 않는다"라며 "공공성이 담보되고 편의성을 제공하는 스테이블코인 정책 추진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타국 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과 차별화되는 장점이 될 수 있다"이라고 말했다.
공공에서 추진해야 할 정책의 예시로 △기존 디지털 금융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가칭 '스테이블코인 뱅크' 설립 △국가 정책을 기반으로 한 자산 보관 표준화를 위한 '가상자산 예탁원 출범' 등을 제안했다.
정부기관 중심의 스테이블코인 시장 구축 과정에 있어 위메이드의 역할로 '선구자'를 제시했다. 김 부사장은 "스테이블코인의 단독 발행자가 되거나 금융권에 진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라며 "파트너십을 통해 컨소시엄을 구축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문을 여는 데 일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메이드는 파트너십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스테이블 원' 사업에 협력 중인 미국 블록체인 보안 전문 기업 서틱(CertiK)의 캉 리 최고 기술 책임자(CTO)를 현장에 초청했다. 서틱은 이더리움재단과 리플, 앱토스, 폴리곤, BNB 등 블록체인 기업은 물론 바이낸스와 후오비 등 거래소까지 5000개 이상의 블록체인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어온 곳이다.
캉 리 CTO는 현장에서 "오랜 기간 위메이드와 긴밀하게 협업해 온 파트너로서 스테이블 원에도 기술 지원을 제공했다"라며 "앞으로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 부문에서 지속적으로 협업을 이어가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서틱의 발표 이후에는 위메이드 실무진의 발표가 이어졌다. 안 CTO는 지난 2018년부터 7년 간 위믹스 사업을 추진하며 총 5272만 개의 코인 지갑이 등록되는 등 성공적으로 사업을 이어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사업실장이 스테이블코인 전용 블록체인 메인넷 역할을 할 '스테이블 원' 플랫폼과 스테이블코인 'KRW1(가칭)'를 소개하고 스테이블코인과 법정화폐 간 페깅(가치 연동) 방식과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유통하는 방식, 데이터 처리 성능 등을 소개했다.
위메이드는 현재 '스테이블 원' 체인을 내부 테스트 중이다. 오는 10월 스테이블 원의 소스 코드 중 금융 인프라 연결 기능 등을 제외한 코드들을 오픈소스 프로젝트 형태로 공개하는 데 이어 11월 테스트넷을 공개하는 형태로 안정성 점검에 나선다. 메인넷 정식 출시 목표 시점은 오는 2026년 1분기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