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업카드 잠재부실] 산업계, 카드사 ‘외상값’ 6조… 제2 홈플러스 사태 우려

글로벌이코노믹

[기업카드 잠재부실] 산업계, 카드사 ‘외상값’ 6조… 제2 홈플러스 사태 우려

운전자금 확보 장점…제조·건설·정유·화학 등 확산
만기 수개월 불과 ‘돌려막기’ 의존도↑
자금시장 경색 시 기업·카드사 연쇄 부실 위험
산업계에서 카드사 구매카드 이용 규모가 커지면서 잠재부실 가능성이 제기된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산업계에서 카드사 구매카드 이용 규모가 커지면서 잠재부실 가능성이 제기된다. 사진=연합뉴스
산업계에서 ‘구매전용카드’(구매카드) 사용이 1년 반 사이에 3.3배 이상 급증해 무려 6조 원을 넘어섰다. 구매카드는 기업이 빠르게 운전자금을 확보할 수 있어 제조·건설·정유·화학 등 업종 전반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그러나 만기가 수개월에 불과해 차환(돌려막기) 의존도가 높고, 자금시장이 흔들리면 결제 자금이 한꺼번에 필요해 기업·카드사로 충격이 번질 수 있어 제2 홈플러스 사태 등 잠재부실이 우려되고 있다.

9일 여신업계와 나이스신용평가 분석 등에 따르면 최근 수년 새 산업계의 구매카드 이용 규모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구매카드 이용 잔액은 2023년 말 1조9100억 원에 그쳤지만 지난해 12월 말 5조5100억 원으로 늘었고, 올해 6월 말 기준 6조3500억 원으로 확대됐다. 불과 1년 반 남짓한 기간에 약 3.3배 증가한 수치다.

회사별 잔액을 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SK에너지가 3조1585억 원으로 가장 많고, 현대건설 1조1801억 원, 한화솔루션 1조1285억 원, LG디스플레이 1조1193억 원, 롯데케미칼 1조986억 원으로 많았다. 이어 SK인천석유화학 8181억 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7350억 원, SK지오센트릭 6250억 원, 현대엔지니어링 4301억 원, 포스코이앤씨 4258억 원, 여천NCC 2322억 원, SK온 398억 원 등의 순이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정유·화학과 건설, 디스플레이 등 설비·원재료 결제 규모가 큰 산업에서 잔액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카드사들 역시 가맹점수수료 인하로 인한 본업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구매카드 영업에 힘을 주고 있다. 구매카드를 취급하는 신한·삼성·현대·하나·롯데카드 등 5개사의 구매전용카드 수익은 작년 말 기준 213억 원으로 2020년 대비(66억 원) 3배 이상 늘었다.
산업계에서 구매카드 이용이 급증하는 배경은 돈이 빨리 나오고 조건이 까다롭지 않으며, 당장 쓸 현금을 아낄 수 있고, 납품업체는 먼저 돈을 받고 회사는 나중에 갚는 구조라 서로 이익이기 때문이다. 구매카드는 기업 신용을 기초로 특수목적회사(SPC)가 단기 유동화증권을 발행해 자금을 신속히 조달해 주는 만큼, 필요 시점에 맞춰 운전자금을 빠르게 끌어올 수 있다. 프로젝트·공정 진행에 따라 원재료 대금·외주비 등의 지급 사이클이 빠르게 돌아야 하는 업종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아울러 직접 차입·회사채 대비 조달 조건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점도 확산을 뒷받침한다. 금리 수준과 스프레드, 회사채·기업어음(CP) 창구의 수요·공급 사정에 따라 체감 비용과 실행 난도가 달라지는데, 외상카드형 조달은 프로그램화된 구조 덕분에 탄력적으로 접근하기 쉽다는 것이다.

반면에 우려도 있다. 구매카드는 장부상 ‘차입금’이 아니라 외상(매입채무·미지급금)으로 잡혀 겉으로는 덜 위험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몇 달 뒤 현금으로 반드시 갚아야 하는 채무다. 만기가 짧아 차환 의존도가 높고, 시장이 흔들리면 새 자금이 막혀 결제 자금이 한꺼번에 필요해 유동성 쇼크로 번질 수 있다.

외상을 늘리면 일시적으로 영업현금흐름이 좋아 보이는 착시가 생기지만 결제 시점에 현금 유출이 되돌아 커진다. 게다가 수수료(사실상 금리) 부담이 존재하고 특정 카드사·프로그램에 쏠리면, 한도 축소·조건 악화 시 충격이 증폭될 수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집행 속도·조건·현금 보존·거래 편의 측면의 장점을 앞세워 사용이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라면서도 “집행 속도와 접근성은 좋지만 차환 리스크 발생 시 기업 부담이 커지는 만큼 잠재부실로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