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금융당국 개편, 내부 갈등 봉합이 우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금융당국 개편, 내부 갈등 봉합이 우선

금융부 이민지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금융부 이민지 기자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체제가 18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됐다. 햇수로 18년은 고등학교 졸업도 채 하지 못하는 기간이면서도 결단코 짧지는 않다. 신임 수장과 내부 직원들의 갈등은 딱 이 세월만큼 벌어진 채 조정의 여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금융위가 해체되고 재정경제부·금융감독위원회, 금감위 소속 금감원·금융소비자보호원 ‘4각 체제’로 나뉘는 이번 금융감독 개편안은 소속 직원들의 공분을 샀다. 금융위의 경우 재경부로 일부 흡수되는데, 이렇게 되면 ‘서울살이’를 하던 금융위 공무원들은 재경부가 위치하게 될 세종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내부 불만을 의식한 듯, 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은 취임사 직후 소속 직원들을 향해 편지를 낭독했다. 그는 “불확실성의 무게를 충분히 공감한다”면서도 “공직자로서 국가적 최종 결정이 내려지면 정해진 결정을 따르는 것도 우리의 책무이자 의무”라고 했다.

소수만 남고 다수는 떠나게 되는 상황은 조만간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떠나는 인원은 새로운 정체성의 조직에서 새롭게 적응해야 한다. 같은 ‘금융정책’ 기능을 수행하는 데 금융위는 안 되고 재경부는 되는 이유를 납득할 시간이 필요한 이유다.
금감원 직원들은 나아가 상복까지 입었다. 금감원은 이번 정부 조직개편에서 가장 많은 변화가 있는 집단으로, 금감위 소속 공공기관으로 새롭게 지정되는 것도 모자라 소비자 보호를 전담하는 ‘금소원’과 양립하게 된다.

처음에는 ‘민원 집행 기관’으로 전락하는 것이냐며 불만을 표했던 금감원 직원들은 예상보다 큰 변화에 반발하고 나섰다. 첫째는 정부 산하 공공기관 지정에 금융감독의 정체성이 무너지고 ‘관치금융’의 행태가 발생할까 우려에 따른 것, 둘째는 처우 문제다.

신임 리더십은 내부 직원의 수용을 이끌어야 한다. 내부 갈등 봉합이 선결 과제이고, 신사업 페달은 후일에 도모할 일이다. 당정의 방향성인 생산적 금융, 소비자 중심 금융, 신뢰 금융에 발맞춰 신사업을 추진하는 일도 결국 직원이 하기 때문이다. 권력은 쪼개졌으니 이제 퍼즐을 맞출 차례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