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론 출장에 적합한 비자를 받지 않고 미국에 진출해 업무를 수행한 국내 기업 관계자들의 책임이 없다고 할 순 없다. 다만 비자도 내주지 않으면서 미국에 대한 투자와 공장 건설을 유치해온 트럼프 행정부도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이 같은 어려움이 그동안 지속돼 왔음에도 한 번도 정부나 기업, 어느 곳에서도 이 문제를 공론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한·미 관세 협상 등으로 대대적인 대미 투자를 추진 중인 국내 산업계와 정부가 긴밀한 협조나 상호 교류 측면에서 제대로 협력이 이뤄지지 않고 있음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국내 산업계와 정부에 더 많은 투자와 기술 전수 등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미치는 영향이 더욱 치명적일 수 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아직 한·미 협상이 진행 중으로 정부와 기업들이 협력에 나설 기회가 남아있다는 점이다. 미국 정·재계에서도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한국인 근로자 구금 조치가 과도했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는 만큼 이를 십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