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수원특례시, 22개 역세권 복합개발…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본격화

글로벌이코노믹

수원특례시, 22개 역세권 복합개발…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본격화

17일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시청 중회의실에서  ‘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브리핑’을 열어 콤팩트시티 조성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수원시이미지 확대보기
17일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시청 중회의실에서 ‘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브리핑’을 열어 콤팩트시티 조성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수원시
수원특례시가 철도망 확충에 발맞춰 22개 전철역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역세권 복합개발을 추진,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속도를 낸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1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브리핑’에서 “모든 광역 철도망 구축 사업이 완료되면 수원의 전철역은 22개로 늘어난다”며 “이들 역세권을 콤팩트시티로 개발해 일자리와 투자, 주거가 어우러진 새로운 경제거점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우선 9개 역세권, 약 230만㎡(70만 평)을 전략지구로 설정하고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며, 내년 상반기 착수를 목표로 2030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복합개발은 △업무·상업 중심의 ‘도심복합형’ △대학·첨단산업 연계의 ‘일자리형’ △주거환경 개선형 ‘생활밀착형’으로 구분해 추진된다.
도심·부도심과 환승역세권은 업무·상업 기능 중심의 ‘도심복합형’, 대학 인근과 첨단산업 입지 예정지는 자족 기능을 강화하는 ‘일자리형’,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지역은 ‘생활밀착형’으로 개발된다.

특히 시는 용도지역·용적률 규제 완화 등 과감한 규제 개혁을 통해 민간·공공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방침이다. 또한 사업자에게는 개발계획 수립과 전문가 컨설팅, 인허가 단축 지원 등을 제공해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이 시장은 “22개 역세권 복합개발이 완료되면 도심 개발 용지 140만 평과 생활SOC 7만 평이 공급되고, 수많은 일자리 창출과 대규모 민간투자가 뒤따를 것”이라며 “세계가 주목하는 콤팩트시티 모델을 수원에서 구현해 경제성장과 도시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