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美투자 나선 K-바이오, 정부 지원도 필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美투자 나선 K-바이오, 정부 지원도 필요

글로벌이코노믹 이재현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재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부과로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미국 내 투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다만 높은 초기 비용과 인건비 등으로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예고했고, 미국 내 정부 부처와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당초 지난달 발표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관세율 발표가 한 차례 미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높은 관세를 회피하려면 미국 내 투자를 단행하라고 기업들에 요구했다. 구체적으로는 공장을 건설하거나 인수하는 방안을 언급했다. 이에 글로벌 빅파마들은 미국행을 택했다. 대표적으로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와 스위스의 노바티스 등이 있다.

미국 내 기업들도 자국 내 공장 건설이나 투자를 예고했다. 비만치료제로 빠르게 성장한 일라이 릴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신약으로 유명한 화이자도 해당 사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글로벌 빅파마들의 행보에 국내 기업들도 눈치를 보는 상황이다. 의약품과 관련한 대미 수출은 아직 미미하지만 미국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고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들에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셀트리온은 일라이 릴리의 미국 공장을 인수하면서 대응에 나섰고,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전부터 시러큐스에 공장을 인수해 가동 중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도 가능성은 열어뒀다. 이 기업들은 자본이 갖춰졌기 때문에 가능하지만 다른 국내 바이오기업들의 상황은 다르다.

최소한의 방식으로 현지 법인을 설립하면서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만약 정부가 미국과 협의해 의약품 관세를 회피하지 못한다면 국내 기업들은 미국 진출뿐만 아니라 판매하는 기업들도 부담을 느끼게 된다.

이에 업계에서는 정부가 지원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지 상황 파악이 어려운 바이오기업들에 가동률이 낮은 공장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관세를 대체할 방안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