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금리동결] 가계부채·무역 불확실성 발목…관세협상, 韓경제 성장 변수

글로벌이코노믹

[금리동결] 가계부채·무역 불확실성 발목…관세협상, 韓경제 성장 변수

"3분기 내수, 추경 편성 등으로 회복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은이미지 확대보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은
한국은행이 대내적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 및 가계부채 증가를, 대외적으로 무역협상 불확실성을 우려해 이달 기준금리를 묶었다.

국내 경제는 건설투자 부진에도 소비 개선 및 수출 증가로 성장 부진이 다소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향후 성장 흐름은 미국과 여타국 간의 관세 협상 결과에 크게 영향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0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5%로 결정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과 11월, 올 2월과 5월 각 0.25%포인트(P)씩 금리를 낮춘 바 있다.

이번 금리 동결은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대출 증가 리스크를 우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한은 금통위는 “수도권 주택가격 오름세 및 가계부채 증가세가 크게 확대됐고, 최근 강화된 가계부채 대책의 영향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5월 말보다 6조2000억원 증가한 116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8월(9조2000억원) 이후 10개월 만의 최대 증가 폭이다.

비은행권 포함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도 6조5000억원 증가하면서 지난해 10월(6조5000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늘었다는 금융위원회 집계도 나왔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발 관세전쟁 여파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도 금리 동결 원인으로 작용했다. 금통위는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높은 관세율의 영향이 본격화되며 성장세가 점차 둔화하고 물가 경로는 국가별로 차별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국내 경제는 2분기 건설투자 부진에도 5월 이후 소비심리 개선세에 반도체 중심의 수출 증가가 동반되면서 성장세가 당초 예상과 부합했다고 한은은 평가했다.

한은은 경제상황 평가 보고서를 통해 “3분기 이후 내수는 추가경정예산 편성 및 금리인하 효과 등으로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다만 수출에 대해선 “미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둔화할 전망이며, 수출 흐름은 무역협상의 결과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은 향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목표 수준인 2%를 소폭 밑도는 수준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했다.

금통위는 이와 관련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낮은 수요압력, 국제유가 안정세 등으로 2% 내외의 오름세를 지속할 것이라 예상된다”며 “향후 물가 경로는 국내외 경기 흐름,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정부의 물가 안정 대책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미 관세정책의 영향 본격화로 하반기 감소할 것으로 보이지만, 연간 규모는 지난 전망(820억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판단했다.

한은은 숨 고르기를 한 뒤 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를 결정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에 금리는 오는 8월이나 4분기경 추가 인하될 것으로 보인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