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규모, GDP 90%…전년보다 속도 빨라"
"올바른 정부 정책…거래량 하락→가계부채 감소 기대"
"올바른 정부 정책…거래량 하락→가계부채 감소 기대"

이 총재는 10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5%로 결정했다. 이번 금리 동결은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대출 증가 리스크, 대외적으로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을 우려한 결과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 가계부채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90%에 가까운데, 현 수준은 가계부채가 수도권에 집중해서 늘었던 지난 8월보다 그 속도가 빠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향후 기준금리는 부동산 가격 및 가계부채를 잡고 나서 추가 인하를 결정하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총재는 “3개월 포워드 가이던스에 대해,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3개월 내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고 부동산 관리 정책 효과 등을 살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면서 “이에 반해 2명은 금융안정 확신을 얻기 위해선 시간이 더 필요하며,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2%포인트(P) 이상으로 확대되는 점도 살펴볼 필요가 커 금리 동결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는 8월 이후 가계부채 문제가 해결돼 금리 인하를 할 수 있냐 내다보긴 어렵다”며 “특히 8월 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표도 봐야 하는데, 관세가 크게 오른 와중에 국내 가계부채가 잡힌 반면 부동산 가격은 안 잡히는 ‘나쁜 시나리오’가 일어날 가능성까지 생각하면 금리를 언제 낮출지, 최종금리는 어디까지 내려갈지 답하긴 어렵다”고 강조했다.
다만 연내 기준금리 인하는 분명하게 시사했다.
이 총재는 “관세가 25%가 아닌 10%로 해결되고 부동산 문제가 해결되면서 우리 성장률이 나아진다 하더라도 잠재성장률은 2%”라면서 “이런 (긍정적인) 경우에도 금리를 낮출 필요성이 남아있다고 본다”고 했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지난 2023년 1월까지 7회 연속 기준금리를 올리다가 같은 해 2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13회 연속 금리를 연 3.5%로 묶었다.
이후 경기둔화 흐름이 이어지자 지난 10월과 11월, 올 2월과 5월 각 0.25%포인트(P)씩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