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축산동물복지국의 내년도 예산안은 1,426억 원으로, 올해 당초예산 1,607억 원 대비 180억 원(11.3%) 감액됐다. 특히 도 자체사업 예산은 149억 원(24.4%) 줄어들어 “축산정책이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첫 질의에 나선 김성남 의원(국민의힘·포천2)은 최근 평택·화성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를 언급하며 “사전 대비가 부족하면 10억이면 막을 일을 100억, 200억씩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며 가축방역 예산 반영이 미흡했다고 비판했다.
또 양봉산업 활성화·밀원수 식재 예산 2억 2,800만 원 감액과 ‘가축행복농장 지원사업’ 예산 동결을 지적하며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창식 의원(더불어민주당·남양주5)은 자신이 발의한 '경기도 농어업 전기재해 예방 및 피해 지원 조례'의 근거사업인 ‘축산전기안전 강화 사업’ 일몰을 언급하며 “집행부의 추진 의지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또 지난해 폭설 피해 농가 지원을 포함하던 ‘경기한우 명품화 사업’이 64% 줄어 실효성이 약화된 점, 도축검사 공수의 1명 미채용으로 인한 축산물 안전 공백 가능성을 지적했다.
방성환 위원장은 “경기도 전체 예산은 오히려 1조 2,000억 원 증가했고 지방채도 발행했는데 축산동물복지국 예산만 감액된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지적하며 “농정예산이 타 분야로 전용되는 구조적 원인을 중장기적으로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축산동물복지국은 최근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신규사업 추진률 저조 △가축전염병 예방·복지 예산 감액 △축산환경 개선사업 축소 등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농정해양위원회는 오는 26일 기후환경에너지국 및 경기도농업기술원 소관 2026년도 예산안 심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