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론회는 우리보다 앞서 시민단체의 질적 성장을 일궈낸 영국 런던과 일본 도쿄의 시민단체 지원 및 관리정책을 살펴보고, 서울시 사례와 비교·분석해 서울시의 시민단체 지원에 관한 전략적 방향을 모색코자 마련했다.
참고로 서울미래정책연구회 소속 의원(김종길·박상혁·장태용·허훈·황철규)들은 지난 7월 ‘지방정부의 시민단체 지원 및 관리정책 비교’라는 연구용역을 발주해 진행 중에 있으며, 연구용역의 일환으로 토론회를 마련했다.
토론회는 김용민 건국대학교 KU중국연구원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발제는 이지영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수와 오창룡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이 각각 도쿄와 런던의 시민단체 지원 및 관리 정책을 주제로 발표했다. 토론자에는 임태훈 고려대학교 연구교수와 석주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이 참여했다.
주요 발제 내용으로는 일본과 영국은 공통적으로 시민단체의 재정자립과 지속성을 위해 펀드 및 기금을 운용하며, 시민단체의 정치적 입장이 아닌 테마별·목적별로 다양하고 입체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의 시민펀드나 런던의 문화씨앗기금, 런던크라우드펀드 등과 같이 기금을 통한 다양한 형태로 시민단체를 지원해 시민단체의 재정적 투명성을 강화하고 비 정치경제적 분야로 자금지원을 확대해 시민단체의 정치적 편향성 혹은 권력지향성 확대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다.
토론회 공동 주최자 박상혁 의원(서울미래정책연구회장)은 “서울미래정책연구회는 서울시가 지향할 미래비전 및 정책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는 연구단체이며, 공공성과 자생력을 갖춘 시민단체의 질적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 수립은 서울시가 선진도시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요소다”라고 말했다.
이어 장태용 의원은 “지난 10여 년간 서울시 시민단체는 양적으로는 급격히 팽창했지만 보조금에 의존하며 자생력을 갖추지 못한 무늬만 시민단체로 성장해왔다”며, “토론회와 연구용역의 결과물을 서울시 정책에 반영해 잘못된 정책은 바로잡고, 시민단체의 질적 성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가겠다”고 강조했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