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에 의하면 중국 등에서 과잉 생산된 철강제품이 미국과 EU지역의 역내 보다 국내보다 낮은 가격으로 수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고 지난 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조치는 주로 비시장적인 관행으로 수익을 얻는 중국산 철강제품의 수입을 방지하기 위한 목표라고 이 문제에 정통한 사람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다른 국가들도 관세 대상이 될 것인지는 아직 논의 중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번 합의는 EU와 바이든 행정부가 2021년부터 협상해온 '지속가능한 철강·알루미늄 글로벌 협정'의 일환이 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위원회 대변인은 "EU와 미국은 2023년 10월까지 지속가능한 철강 및 알루미늄에 관한 세계 협정(GSA)결과를 달성하는 데 전적으로 전념하고 있다"며 “어떤 협정도 WTO 규정과 같은 국제적 의무를 준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는 미 무역대표부(USTR)가 논평 요청에 즉각 응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관세 분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18년 미국 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해 철강 수입품에 25%, 알루미늄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해 EU와의 무역 분쟁이 크게 불거졌다. 이후 미국과 EU는 2021년에 분쟁을 종식하고 글로벌 협정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 거래는 분쟁 중인 관세를 유지하면서 EU에서 생산된 금속의 ‘제한된 물량’을 미국에 무상으로 들여 올 수 있도록 하려는 방안이라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