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링크, ‘룩솔OGX’ SW…탄성파 탐사 데이터가 실제 석유 매장 지질도로 변신
석유탐사 분야 세계적 석학 신창수 서울대교수 WFI기술 바탕으로 5년만에 결실
석유탐사 분야 세계적 석학 신창수 서울대교수 WFI기술 바탕으로 5년만에 결실

코코링크(대표 이동학)는 18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탐사기술 상용화 기술 및 제품 발표회’를 갖고 석유탐사선이 탄성파로 측정한 자료를 처리해 실제와 거의 똑같은 정확한 석유 매장 지층 구조도(그래픽)를 만들어 주는 해석 소프트웨어(SW) 상용화 성공을 알렸다.
‘룩솔 OGX’라는 이름의 이 프로그램이 주목받는 것은 지금까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석유 매장위치를 실제 그대로의 정확한 지층 지질도로 그려내 보여준다는 점 때문이다.
의아해 하는 사람들이 있을지 모르지만 이런 기술은 그동안 세계적 석유 메이저인 영국의 BP같은 회사들도 아직 실현하지 못한 기술이다. 프랑스 토털사는 이미 신창수교수의 기술을 라이선싱해 석유탐사 역랑에서는 세계최고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날 발표회에서 설명에 나선 신창수 서울대 자원공학과 교수에 따르면 이처럼 전세계 유수의 석유회사들조차도 탄성파 지질 자료를 정확하게 해석해 내지 못한 채 흐릿한 지질도를 이용하고 있다. 결국 이들조차도 조악한 지질도에 기댄 채 확률에 의존해 석유를 채굴해 내고 있는 실정인 셈이다.
코코링크와 신 교수팀은 이날 이처럼 “세계 굴지의 석유회사들도 실현하지 못한 해저석유자원탐사결과를 정확히 해석해 주는 프로그램을 상용화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실제로 이날 코코링크는 자사 룩솔OGX로 해석해 낸 지질도와 기존 석유업계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해석된 지질도를 비교함으로써 자사 프로그램의 월등한 해석능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코코링크가 상용화한 룩솔OGX는 석유자원 탐사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신창수 서울대 자원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완전파형 역산기반 탄성파(WFI)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신 교수는 지난 2008년 개발한 이른바 ‘라플라스 영역에서의 완전파형 역산 기술(WaveForm Inversion in the Laplace domain)’, 간단히 WFI로 부르는 기술을 발표했다.
신 교수가 10년 전 개발한 기술은 프랑스 토털같은 석유업계의 지존으로 불리는 회사들에게도 라이선싱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된 상용화 프로그램 룩솔 OGX는 이후 신 교수가 효율성 면에서 월등하게 개선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게 두 사람의 설명이다. 신창수 교수는 이 기술에 슈퍼컴 투자가 이어지면 우리나라에서도 이르면 5년 내 연매출 200~400조원 규모의 석유회사가 만들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까지 말했다.

이동학 코코링크 사장은 신 교수가 개발한 세계에서 유일한 완전파형역산(WFI) 원천기술을 온전히 이전받고, 이를 자체 슈퍼컴 기술력과 결합해 시뮬레이션하고 프로그래밍한 결과 프로그램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동학 사장은 이 프로그램을 자사가 개발한 국내 유일의 고성능컴퓨터(HPC) 클라이맥스210에 적용해 전세계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공급과 자료처리 용업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지난해 11월, 그리고 지난달에도 세계최고 슈퍼컴에 오른 ‘서밋(SUMMIT)’ 개발사 IBM 한국지사(IBM코리아)의 허욱 본부장도 참석해 관심을 끌었다. 그는 프레젠테이션과 함께 코코링크의 룩솔OGX 기반의 수출 등에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혀 향후 협력방향에 대한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재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k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