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기 회복해도 가계·기업 체감하기 힘들 것”

공유
0

“경기 회복해도 가계·기업 체감하기 힘들 것”

전문가들 “반도체 의존하는데다 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낮기 때문”

그래픽=뉴시스 제공
그래픽=뉴시스 제공
최근 경기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실제로 경기가 회복하더라도 성장률이 여전히 잠재성장률보다 낮아, 가계와 기업이 이를 체감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오고 있다.

19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한 달 전보다 0.13포인트 오른 99.10을 나타냈다. 지난해 10월 선행지수가 29개월 만에 상승 반전한 데 이어 두 달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글로벌 경제여건을 둘러싼 불확실성도 줄어든 모습이다.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 홈페이지를 보면 지난해 11월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239.36으로 작년 5월(230.15)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17일 기자간담회에서 "무역분쟁에 관한 불확실성이 완화하고 있다"며 "이는 글로벌 투자심리를 회복 시켜 교역 확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한은 관계자도 "작년 11월 이후 나타난 경기지표 개선세의 배경에는 미중 무역갈등 완화가 있다"며 "일부 지표에서 회복 조짐이 나타나는 만큼 올해 경기는 작년보다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올해 성장률이 한은 전망치인 2.3%를 기록하더라도 가계와 기업이 경기 반등을 체감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지적한다.

주력산업인 반도체 산업 반등에 기댄 회복인 데다 여전히 잠재성장률(2.5∼2.6%)보다 낮은 수준의 성장세라는 이유에서다.
박희찬 미래에셋대우 글로벌자산배분팀장은 "반도체 산업 종사자들은 경기회복을 체감할 수 있겠으나 그 외 업종, 일반 가계도 회복세를 느끼려면 잠재성장률 이상의 성장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도 "경기가 회복세로 방향을 튼 것과 어느 정도의 강도로 회복할 수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라며 "올해 성장률이 2.3% 이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한은이 추가적인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늘어난 정부지출 덕에 지난해 성장률이 2.0%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올해는 작년보다 낫겠지만 미미한 수준의 회복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