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부정 관리와 부채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 온 SAA는 2011년 이후 거의 수익을 내지 못하고 정부의 구제 금융에 의존하고 있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제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20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SAA는 지난달 약 1만 개의 일자리를 보호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파산보호를 신청했으며, 이후 파산보호 절차의 일환으로 정부와 대부업체로부터 각각 20억 랜드(약 1606억 원)씩 총 40억 랜드를 약속받았다.
그러나 재무부는 자기지분을 식별하고 분산시키는 방법을 찾지 못했으며, 이에 정부가 직접 나서게 된 것이다. 현재 자금 마련을 위해 재무부와 고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길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skim@g-enews.com















![[뉴욕증시] AI 우려·셧다운에 변동성 지속](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906323207508c35228d2f5175193150103.jpg)







![[실리콘 디코드] TSMC, 엔비디아 '루빈' 맞이…3나노 생산 50% 대...](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0809470806505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