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신저 리보핵산-지질 나노입자 기반
"각 사 역량과 자원 최대한 활용할 것"
"각 사 역량과 자원 최대한 활용할 것"


GC녹십자는 동아ST와 함께 mRNA(메신저 리보핵산)-LNP(지질 나노입자) 기반 만성염증질환 신약 개발을 위한 후속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LNP는 mRNA를 나노입자로 체내에 주입하는 전달 시스템으로 mRNA 기반 약물 개발을 가능케 하는 핵심 기술이다.
계약에 따라 GC녹십자는 선정된 타깃에 작용할 수 있는 mRNA를 합성하고 특정 조직에 전달 가능한 LNP를 스크리닝 및 최적화한다.
GC녹십자 정재욱 R&D 부문장은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만성염증질환 분야의 치료제 개발을 위해 양사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ST는 GC녹십자가 도출한 mRNA-LNP 물질의 작용기전을 밝히고 동물모델에서 유효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동아ST는 염증 질환 분야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해 11월부터 만성 염증성 질환을 목표로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 의과대학과 AAV(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매개 유전자 치료제 공동 연구를 시작했다. 올해 들어 지난 1월에는 KIST로부터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 전달체 기술을 이전받고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동아ST 박재홍 R&D 총괄 사장은 "각 사의 역량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성원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inner585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