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비만치료제 성장세 주춤한 노보 노디스크, 레플리케이트와 협력나서

글로벌이코노믹

비만치료제 성장세 주춤한 노보 노디스크, 레플리케이트와 협력나서

레플리케이트와 5억5000만 달러 계약 체결
srRNA플랫폼 통해 당뇨 및 비만치료제 개발
삭센다로 더뎌진 성장 채울 제품 개발로 분석돼
노보 노디스크가 레플리케이트와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노보 노디스크 본사 모습. 노보 노디스크=제공이미지 확대보기
노보 노디스크가 레플리케이트와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노보 노디스크 본사 모습. 노보 노디스크=제공
비만치료제 '위고비'로 승승장구하던 노보 노디스크가 차기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투자에 나섰다.

지난 달 31일 외신 등 해외 업계에 따르면 최근 노보 노디스크는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이하 레플리케이트)와 5억5000만 달러(약 7600억 원) 규모의 연구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노보 노디스크는 심층적인 치료 지식과 신약개발 전문성을 보유한 레플리케이트를 통해 자가복제 RNA(srRNA) 플랫폼을 바탕으로 제2형당뇨병이나 비만, 기타 심장대사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레플리케이트는 노보 노디스크로부터 받은 5억5000만 달러와 플랫폼을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한다. 만들어진 후보물질에 대한 리드 프로그램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권리, 독점 라이선스는 노보 노디스크가 부여 받는다.
해당 계약은 계약금과 잠재적 마일스톤이 포함된 금액이다. 만약 개발한 의약품이 상업화에 성공하면 제품 매출에 따른 단계별 마일스톤을 추가로 수령하게 된다.

레플리케이트가 보유한 기술은 단백질 발현 프로파일을 맞춤화 할 수 있는 기술로 다른 RNA방식과 비교했을 때 생체 내에서 더 높은 단백질 발현과 지속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플랫폼을 바탕으로 레플리케이트는 염증성 장질환(IBD)과 통풍, 재발성 심막염 등 염증에 강한 질환과 연관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가 레플리케이트의 플랫폼을 기존에 개발하던 방향으로 활용하는 것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이아닌 새로운 방식의 비만치료제로 주춤해진 성장세를 다시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상반기 노보 노디스크의 매출은 242억700만 달러(약 33조56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영업이익은 112억8700만 달러(약 15조6500억 원)으로 29%나 성장했다. 높은 매출은 위고비가 한 몫했지만 삭센다의 빠른 감소세로 매출 성장세가 더뎌진 상황이다.

실제로 삭센다 매출은 2억9600만 달러(약 4100억 원)으로 이는 같은 기간보다 51%나 감소한 것이다. 즉 삭센다가 없었으면 더 크게 성장할 수 있었다는 것.

또한 노보 노디스크는 다수의 비만치료제를 개발 중인데 그 중 효과가 더 뛰어날 것으로 전망됐던 카그세리마가 목표치보다 낮은 결과가 나오면서 기업에 대한 평가도 낮아졌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 아예 새로운 기전의 비만치료제 개발에 나섰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