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때문에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연령층도 낮아지고 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지나치게 빨리 증발하거나, 눈물의 양이 적은 경우, 눈물막의 균형이 깨질 때 발생한다.
눈물막은 각막을 보호하고 시야를 선명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기능이 약해지면 눈의 뻑뻑함이나 작열감, 이물감, 눈부심 등이 나타나고 증상이 심하면 각막 손상과 감염, 영구적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인공눈물 사용이나 생활환경 개선을 통해 치료한다. 방부제 독성을 줄이기 위해 일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염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항염증제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 국제 학회 TFOS 연구에 따르면 미세먼지와 가스 등 대기오염도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오염이 심한 날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습도를 6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치료와 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 시 눈에 피로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자주 휴식을 취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며, 에어컨이나 히터 바람이 눈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신약 개발 연구도 활발하다.
최근 김 교수가 연구개발에 참여한 안구건조증 치료제 후보물질 'RCI001'이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임상 2상 시험 승인을 획득햇다. 최근 유럽 건성안학회의 초청을 받아 아시아와 유럽의 안구건조증 치료제 패러다임의 차이와 RCI001의 연구 성과를 알리며 국내 안과 연구의 위상을 높인 바 있다.
김 교수는 "스마트기기 사용 증가, 환경 오염 등의 이유로 안구건조증 환자가 늘고 있는 만큼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며 "FDA 임상2상 승인은 국내 연구진이 세계 건성안 치료 분야를 선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의미 있는 성과호 향후 임상에서 치료 효과를 입증해 환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