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바이오팜, 美 시장확대 노린다…뇌전증학회서 최신 연구결과 발표

글로벌이코노믹

SK바이오팜, 美 시장확대 노린다…뇌전증학회서 최신 연구결과 발표

전신 발작 임상 결과 등 세노바메이트 관련 최신 연구 결과 10건 발표
세노바메이트, 광범위 항발작제 가능성 입증하며 뇌전증 치료 새로운 전환점 제시
세계적 뇌전증 전문가 초빙 심포지엄 개최...맞춤형 치료 전략 논의
사진=SK바이오팜이미지 확대보기
사진=SK바이오팜
SK바이오팜의 미국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가 2025 미국뇌전증학회(AES) 연례학술대회에서 세노바메이트의 전신 강직,간대발작(Primary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PGTC Seizures) 관련 연구 포함 총 10건의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전 세계 뇌전증 전문가들과 치료 방향을 논의하는 심포지엄으로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오는12월 5일(현지시각)부터 9일까지 개최된다.

24일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이번 학회에서는 세노바메이트의 임상 효능과 안전성, 약동학(Pharmacokinetics, PK), 실사용데이터(Real-World Data, RWD) 등 다양한 연구 결과가 공개된다. 특히 청소년 및 성인 대상 PGTC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연구가 최신 임상 연구 초록(Late-Breaking Abstract, LBA)으로 선정돼 발표될 예정이다. 이는 SK바이오팜이 지난 9월 공개한 전신 발작 임상 탑라인(Top-line) 결과를 기반으로 하며, 세노바메이트가 광범위 항발작제(broad-spectrum ASM)로서 잠재력을 지닌다는 점을 임상적으로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로 평가된다.

세노바메이트의 새로운 제형인 경구용 현탁액의 임상 결과도 함께 발표된다. 현재 경구용 정제 형태로만 상용할 수 있고 위 연구에서 정제와 경구용 현탄액 간의 상대적 생체이용률이 유사하게 확인돼 식사와 관계없이 투여가 가능한 것이 입증돼 경구 현탄액 제형에 대한 신약 승인 신청서를 연내 제출할 계획이다. 또 만 12세 이상~18세 미만 청소년 발작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PK 분석 결과에서도, 성인 승인 용량(100~400 mg, 1일 1회 투여)과 유사한 약물 노출이 확인돼 12세 이상 연령층으로 적응증 확장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확보했다.

이번 학회에서 약물 난치성 뇌전증 치료의 진화 과정과 3세대 항발작제의 역할을 조명하고, 실제 환자 치료 여정을 통해 치료 선택이 환자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등 최근 의료진의 인식 변화와 완전 발작 소실 달성을 위한 치료 접근법에 관한 토론이 진행된다. ‘발작 감소를 위한 새로운 길을 비추다(Illuminating the Path to Added Seizure Reduction)’라는 주제로 SK라이프사이언스가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황소원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wangsw7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