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사를 모실 때 제주(제사를 모시는 사람)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지방을 쓰는데 지방 쓰는 법에 대해 소개한다. 지방은 폭 6㎝, 길이 22㎝의 한지 위에 쓰며, 한자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지방쓰는 앱을 활용할 수 있다.
지방이란 고인의 이름과 사망날짜를 적은 위패인 신주(神主)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종이로 만든 신주다.
지방에는 먼저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쓰고, 제주와 관계, 고인의 직위, 부군(府君) 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神位) 순으로 쓰면 된다.
관계 뒤에 적는 직위는 벼슬을 지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에 벼슬 이름을 쓰면 된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 적는다. 이어 벼슬 뒤에는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쓰고 마지막으로 神位(신위)라고 적으면 된다.
만일 부모님 가운데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쓴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