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글로벌 성장 위한 혁신적 조직 변화
"해외사업 추진력 높여 비전 달성 앞당긴다"
"해외사업 추진력 높여 비전 달성 앞당긴다"

4일 CJ제일제당은 본사를 글로벌 HQ와 한국식품사업으로 분리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HQ에는 마케팅, R&D, 생산 등의 주요 기능을 편제해 국내를 비롯한 해외 전 지역의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마케팅의 경우 글로벌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고 메가 트렌드를 분석·전파하고, 생산의 경우 온리원(OnlyOne)적인 제조기술 역량과 노하우를 해외 생산기지에 이식한다.
6대 글로벌 전략제품을 대형화하고 미래 혁신 성장을 견인하고자 글로벌 HQ 산하에 식품성장추진실을 신설한다. 이를 위해 조직 내 흩어져 있던 GSP 조직을 모았다. 식품성장추진실 산하 전략기획 1·2 담당은 미주, 아태, 유럽 등 권역별 성장 전략기획뿐 아니라 식물성 식품 사업, 스타트업 투자 등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 및 실행을 맡게 된다.
국내 사업의 경우 식품한국총괄(한국총괄)이 별도로 조직된다. 한국총괄 산하에는 식품영업본부, 디지털산업본부, B2B 사업본부, 한국생산본부, 한국R&D센터 등이 배치된다. 한국총괄 수장은 CJ제일제당의 시장지위 확보에 기여한 김상익 전 식품사업운영본부장이 맡는다.
또 한식 경험이 비교적 낮은 동유럽 국가에서는 대형마트 내에 숍인숍(Shop in Shop) 형태인 ‘비비고 투 고(BIBIGO TO GO)’ 매장을 운영해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이 밖에도 미국에서는 비비고 브랜드의 시장 지배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은 만두와 치킨, 상온 HMR 제품을 중심으로 MZ세대들의 활발한 구매가 이뤄지고 있는 온라인 채널 성장에 집중할 방침이다. 일본은 미초, 비비고 브랜드 대형화를 목표로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고 베트남은 김치, 가공밥, K-소스에 집중한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선제적으로 조직 구조를 글로벌 기업 수준에 걸맞게 진화시켜왔다”면서 “이번 조직개편을 계기로 해외 사업의 추진력을 더욱 높이고 글로벌 종합식품회사의 비전 달성을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송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sy12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