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현장] 인터파크, ‘트래블 테크’ 기업 도약으로 관광대국 첨병 된다

글로벌이코노믹

[현장] 인터파크, ‘트래블 테크’ 기업 도약으로 관광대국 첨병 된다

인터파크트리플로 사명 변경…글로벌 콘텐츠 허브와 초개인화 플랫폼 결합 시너지 기대
2028년 연간 외국인 방한 관광객 5000만명 목표…AI기술 활용해 맞춤형 패키지 상품 개발
20일 여의도 페어몬트 서울에서 개최한 인터파크트리플 비전 선포 미디어데이에서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가 기업 비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성준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20일 여의도 페어몬트 서울에서 개최한 인터파크트리플 비전 선포 미디어데이에서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가 기업 비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성준 기자.
“기업에서 먼저 글로벌 무대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이 확보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정부 및 지자체와 협력해서 실질적으로 (관광대국의)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어요. 전세계 주요 지점마다 법인을 만드는 등 해외 진출만 바라보고 사업을 전개한 이유도 진심만이 적극적 지원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김종윤 야놀자 클라우드부문 대표가 관광대국 실현과 관련해 정부가 어떤 부분을 돕길 원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기업이 먼저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20일 인터파크는 여의도 페어몬트 서울에서 비전 선포 미디어데이를 열고 사명 변경과 신규 사업계획을 알렸다.

인터파크는 ‘인터파크트리플’로 사명을 변경하고 데이터 기반 초개인화 플랫폼 트리플과의 시너지를 통해 ‘K-트래블’의 중심이 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인터파크가 보유한 콘텐츠와 여행상품에 트리플의 AI 기술을 더해 글로벌 여행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인터파크트리플은 2028년까지 연간 외국인 방한 관광객 5000만명이라는 도전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 발표안인 2027년 3000만명 목표를 조기 달성하기 위해 적극 지원하고 관광대국 육성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인터파크트리플은 목표가 현실화될 경우 약 300조원에 달하는 수출 효과에 더해 지역 경제 활성화, 양극화 완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했다.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는 목표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지역 관광지 활성화를 내세웠다. 그는 “대부분의 외국인 관광객이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해 서울에만 머무르기 때문에 현재 여행상품들은 현실적으로 서울을 벗어나기 힘든 구조”라며 “K-패키지 여행 개발을 통해 제3·제4의 관광지를 만든다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자연스럽게 관광대국으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항공·패키지 여행 및 콘텐츠 등에 수십년의 노하우를 가진 인터파크와 AI 기반으로 여행을 최적화하는 트리플의 기술을 접목해 인바운드 관광객을 위한 패키지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디딤돌로 삼겠다는 포부다. 이 대표는 “5년 안에 인바운드 관광객 5000만명을 유치하는데 사활을 걸겠다”며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20일 여의도 페어몬트 서울에서 열린 인터파크트리플 비전 선포 미디어데이에서 김종윤 야놀자 클라우드 부문 대표와 최휘영 인터파크 대표가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김성준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20일 여의도 페어몬트 서울에서 열린 인터파크트리플 비전 선포 미디어데이에서 김종윤 야놀자 클라우드 부문 대표와 최휘영 인터파크 대표가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김성준 기자.
인터파크에 따르면 2019년 세계 관광산업 규모는 약 9.2조 달러로 전 세계 GDP의 10.5%를 차지했다. 금융위기나 전쟁, 테러 등의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매 15년마다 2배 이상 성장하고 있다. 다른 산업과 비교해 탄소배출량이 낮은데다 양극화 문제 해소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 각국 정부 및 관련기관들은 관광산업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한국 여행업계의 상황은 조금 다르다. 2019년 세계 50개국의 글로벌 관광수지는 287억 달러 흑자였던 반면, 한국의 관광수지는 85억 달러 적자를 봤다. 일본이 팬데믹 이전 대비 관광객을 66% 회복할 동안 한국은 18% 밖에 회복하지 못했다. 2010년 한국과 일본의 관광객은 각각 880만명과 860만명으로 비슷했다. 하지만 2019년 한국 관광객이 1750만명, 일본 관광객은 3190만명으로 차이가 벌어졌다. 이는 관광수지 차이로도 고스란히 이어졌다. 올해 1월 기준 한국 관광수지는 1조5000억원 적자였지만 일본은 1조7600억 흑자를 기록했다.

김종윤 야놀자 클라우드 부문 대표는 “한국을 방문하고 싶은 이유로 K-콘텐츠를 꼽는 외국 관광객이 63% 이상일 정도로 우리나라의 콘텐츠 잠재력은 충분하다”면서 “다만 연행산업 영역이 콘텐츠 산업과 맞닿지 않아 충분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콘텐츠와 여행을 접목해 외국인 관광객을 한국으로 유입시킬 무기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터파크트리플은 먼저 콘텐츠와 여행을 접목한 여행상품으로 관광객을 유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공항 등을 활용한 지역균형발전 방식의 패키지 상품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나아가 AI 기술을 통해 국적별 맞춤 패키지 상품을 통해 관광객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 더 많은 관광객을 끌어모으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K-패키지여행 상품도 개발하고 있다. ‘인사동과 명동을 돌아보고 동대문 쇼핑센터로 향하는’ 뻔하고 단순한 상품에서 벗어나 개개인이 한국에서 원하는 다양한 경험과 취향을 디테일하게 반영해야 세계인의 이목을 끌 수 있다는 판단이다. 패키지 상품 다양화를 통해 관광객들이 자신이 원하는대로 상품을 자유롭게 구성해서 즐길 수 있게끔 한다는 것이다.

생성형 AI가 접목된 상품 샘플에서는 관광객이 ‘한국 유명 드라마에 나온곳에 가보고 싶다’고 입력하자 곧바로 ‘여행 전문 AI 비서’가 유명 드라마 촬영지가 포함된 3박4일 일정을 추천해줬다. AI 기반 기술을 통해 만족할만한 일정을 쉽고 빠르게 계획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예약까지 원스톱으로 진행될 수 있게끔 여행 편의를 극대화한다는 비전이다.

최휘영 인터파크 대표는 “인터파크트리플이 가진 기술력과 서비스구현능력, 상품경쟁력을 활용해 야놀자클라우드와 함께 주도적으로 나선다면 5년안에 인바운드 관광객 5000만 시대를 여는 거대한 도전에 앞장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jkim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