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대한양계협회와 한국육계협회, 한국오리협회, 한국토종닭협회로 이뤄진 가금생산자단체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국내 닭고기 시장 영향 분석, 업계 관계자와 소통 없이 추진하는 일방적이고 편향적인 '졸속행정'의 극치"라고 비판하며 "브라질 가금육의 '수입 지역화' 추진을 당장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앞서 정부는 브라질 내에서 발생한 AI때문에 수입을 금지하다가 미발생 지역에서 생산한 닭고기에 한해 수입을 허용하는 내용을 포함한 닭고기 수급방안을 발표했다.
이들은 "이번 조치는 우리 정부가 브라질 닭고기 수출업체에 날개를 달아주는 꼴"이라며 "국내산 닭고기 자급률은 위축되고, 국내 가금 산업에 큰 위해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정부가 지난 2022년 하반기부터 작년 1분기까지 브라질산 냉동 닭고기에 할당관세를 적용하면서 국내산 닭고기 자급률은 20년 만에 80% 이하로 떨어졌다"며 "가금 생산자단체, 닭고기 생산자와 소통을 통해 수급 개선책을 강구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닭고기는 브라질뿐 아니라 미국, 태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이 가능한 만큼, 한 나라에 국한하지 말고 수입 다변화를 모색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라며 "'물가 안정'이라는 미명아래 보여주기식 정책을 지양하고, 국내 가금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정책적 대응에 진심을 다해 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정부는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을 조속히 재개할 수 있도록 수입위험평가를 하고 브라질과 협의하기로 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