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수입 의존 줄인다…오리온·농과원·평창군, ‘국산 녹비작물’ 확산 협약

글로벌이코노믹

수입 의존 줄인다…오리온·농과원·평창군, ‘국산 녹비작물’ 확산 협약

오리온-국립농업과학원-평창군청-육백마지기 생태농장 업무협약식 기념촬영(왼쪽부터 임성원 평창군청 부군수, 이상재 국립농업과학원 원장, 이해극 육백마지기 생태농장 대표, 권혁용 오리온 AGRO팀 전무. 사진=오리온이미지 확대보기
오리온-국립농업과학원-평창군청-육백마지기 생태농장 업무협약식 기념촬영(왼쪽부터 임성원 평창군청 부군수, 이상재 국립농업과학원 원장, 이해극 육백마지기 생태농장 대표, 권혁용 오리온 AGRO팀 전무. 사진=오리온
오리온은 1 강원도 평창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평창군청, 육백마지기 생태농장과 함께국내 재생유기농업 확산 기반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맺었다.

이번 협약으로 오리온은 국립농업과학원과 공동으로 강원권 감자 재배에 적합한 녹비작물 활용기술 개발 연구에 착수한다. 평창군청은 지역 농가에 재배기술과 농기계를 지원하며, 육백마지기 생태농장은 2천㎡ 규모의 종자 증식 재배지를운영한다.

녹비작물은 토양 영양분을 높이고 침식을 방지해 화학비료를 대체할 있는 친환경 농업 필수 자원으로 꼽힌다. 그러나국내 녹비작물의 70%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정부 차원에서도 국산 종자 확대와 보급에 힘을 쏟고 있다.

오리온은 감자 신품종 개발과 영농기술 보급 등에서 축적한 경험을 인정받아 이번 협약에 참여하게 됐다. 특히 평창 오리온 감자연구소 1500 시험재배지를 마련해 국산 녹비작물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화학비료 대체 효과를 분석할계획이다.
오리온은 1988 평창에 국내 최초의 감자연구소를 설립해 두백(2000), 진서(2023), 정감(2024) 신품종을개발해왔다. 국산 씨감자는 베트남 수출을 시작으로 해외 판로를 확대했으며, 지난해에는 중국 현지에서 ‘OA2132’ 신품종 개발을 완료하고 품종보호 출원 절차도 진행 중이다.

오리온 관계자는관계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감자 재배에 적합한 국산 녹비작물을 개발하고, 지속가능한 친환경 농업 토대 마련에 기여하겠다 말했다.


황효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yoju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