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카드 이익 증가에 비은행 부문도 선전···1분기 배당 주당 400원 예정

22일 신한금융그룹은 경영실적을 발표하면서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1조40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5% 늘었다고 밝혔다. 신한금융측은 핵심 자회사인 은행과 카드의 이익 증가와 비은행 부문의 선전을 통해서 그룹의 경상 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대출자산 성장과 유동성 핵심예금 증가 및 마진 개선 등으로 1분기 그룹의 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7.4% 늘었다. 중소기업 중심의 영업 전략과 가계대출의 체계적 외형 관리를 통한 대출자산 성장으로 이자수익도 늘었다. 유동성 핵심예금의 증가를 바탕으로 조달비용도 효과적으로 관리됐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탓에 그룹과 은행의 1분기 순이자마진(NIM)도 각각 1.89%, 1.51%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08p, 0.12%p씩 개선됐다. 전 분기 대비 각각 0.06%p가 좋아진 것.
비이자이익은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유가증권 매매이익 감소탓에 전년 동기 대비 4.3% 줄어든 9863억원을 시현했다. 증권수탁수수료가 주식거래 대금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0% 줄었다. 유가증권 손익은 금리 상승에 따른 매매이익 감소탓에 11.7%, 보험관련 이익은 사고보험금 증가 등으로 18.3% 줄었다.
1분기 대손비용은 2436억원으로 코로나 관련 추가 충당금 745억원 적립 등 보수적 충당금 적립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29.7% 늘었다. 코로나19 관련 추가 충당금은 2020년부터 올 1분기까지 총 6568억원을 적립했다. 코로나19 지원 프로그램 종료 등 불확실성에 충분히 대비했는 평이다.
3월 말 기준 그룹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6.2%, 보통주자본비율은 13.0% 수준으로 규제 비율을 충족하며 안정적 자본비율을 유지했다. 특히, 금리상승 및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비은행 자회사의 이익 기여도는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계열사별로는 신한은행이 전년 동기 31.5% 증가한 8631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이자이익은 ▲기업 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 ▲유동성 핵심예금의 증가 ▲NIM 개선으로 계속 축적돼 전년 동기 대비 19.8%늘었다. 비이자이익은 유가증권 관련 손익 감소에도 수수료이익의 선전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늘었다.
신한카드의 경우 순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4.7% 늘어난 1758억원을 기록했다. 규제 강화, 조달비용 상승, 신용리스크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업 다각화를 통한 영업 자산의 성장 및 신용판매 매출액 증가 영향이다.
신한금융투자는 1045억원으로 업권 전체의 증권 거래대금 감소 탓에 전년 동기 대비 37.8% 줄었다. 신한라이프는 15.6% 늘어난 1524억원, 신한캐피탈은 83.6% 늘어난 1086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글로벌손익은 우량 자산 증가 및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의 균형 있는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5% 늘었다. 그룹 손익 중 글로벌 손익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1.1%p가 상승한 9.2%였다.
한편 신한금융지주회사 이사회는 올해 1분기 보통주 배당금을 400원으로 결의했다. 5월 초 지급된다. 신한금융은 올해에도 균등한 분기 배당을 실시하며, 지난 3월 발표했던 자사주 매입 소각 등 다양한 자본 정책을 통해서 성장의 과실을 주주에게 지속적으로 환원할 방침이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