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美·中 올해 내수 중심 성장…韓 수출에 긍정적"

공유
0

한은 "美·中 올해 내수 중심 성장…韓 수출에 긍정적"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한국은행
미국과 중국이 무역 갈등을 벌이면서 올해 G2 경제가 내수 중심의 성장 흐름을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됐다. 아울러 이 같은 흐름은 단기적으로 우리나라 수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24일 발표한 '최근 G2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금년 중 G2경제는 재정·산업정책 등에 힘입어 내수 중심의 성장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미국은 양호한 고용상황에 힘입어 견조한 소비, 설비투자 확대 등으로 내수를 중심으로 1.6% 성장했다. 중국의 1분기 성장률 역시 SOC부문 투자와 수출이 동시에 증가하면서 부동산 경기와 소비 부진을 만회하고 시장 예측을 넘어선 5.3%로 호조를 보였다.

한은은 미국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수요 우위 상황이 유지되고 정부의 재정지원도 더해지면서 양호한 수준의 소비 증가세로 내수 중심의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의 경우 고정자산 투자를 부동산 중심에서 친환경산업과 첨단 제조업으로 전환하고 관련 산업의 생산과 수출을 늘리고 있지만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이 이에 대응해 무역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성장흐름이 점차 내수 중심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양국 경제의 내수 중심의 성장흐름은 단기적으로는 우리나라 수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최병재 한은 조사국 국제종합팀 차장은 "G2경제의 내수 중심의 성장흐름은 단기적 시계에서 우리나라 수출에 긍정적 요인"이라며 "미국과 중국의 투자 확대는 우리나라의 자본재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대(對)중국 수출 규제는 반도체, 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력상품 수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기술·제조장비 관련 수출 규제에 대응해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이 꾸준히 상승하는 등 중국 제조업의 자급률 상승은 교역 상대국으로부터의 중간재 수입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도 글로벌 분절화로 인한 글로벌 손실이 정도에 따라 전세계 GDP의 0.2%에서 극심할 경우 7%까지 달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최 차장은 "(장기적으로는) 양국간 분절화가 심화되고 각 국가에서 자국내 생산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우리나라 수출도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