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9월 금리인하 전망이 우세한 데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정책방향 힌트를 제시할 전망이다. 일본은 금리인상, 장기국채 매입 축소 등 정책의 변곡점을 맞이할 전망이다.
미국 연준은 30∼3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통화정책을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번 달 FOMC 이후 기자회견에서 향후 금리정책에 어떤 신호를 보낼지 주목하고 있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은 30∼31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논의한다.
BOJ는 지난 3월 단기 정책금리(-0.1%)를 인상해 0.0∼0.1%로 유도하기로 결정한바 있다. 이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8년 만에 종료한 것이다.
이후 BOJ는 금리 동결행진을 지속하는데, 엔화 약세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추가 금리인상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우에다 가즈오 총재도 이달 의회에 출석해 "경우에 따라서는 정책금리가 인상될 수도 있다"고 밝힌바 있다.
미국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의 정책 결정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연준의 정책 전환 전망이 커지면 한은이 금리 인하를 논의하는 데에도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미일 등 주요국 금리 결정이 우리나라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은은 지난 11일 기준금리(3.50%)를 동결한 바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당시 “이제는 차선을 바꾸고 적절한 시기에 방향 전환을 할 준비를 하는 상황이 조성됐다”고 밝혀 하반기 금리인하를 시사한 바 있다.
경기와 물가를 보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야 하지만 부동산 경기와 가계부채 등을 고려하면 움직이기 어렵다.
특히 최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주택시장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금통위원들은 공통적으로 집값 상승 확산세를 우려했다.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 잘못된 신호를 줄 경우 주택 가격 상승을 촉발하는 정책적 실수가 나올 수 있다는데 금통위원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가계부채가 급등하는 것도 부담이다. 금융위원회가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규제를 2개월 연기해 오는 9월 시행하기로 하면서 주택구매 막차 수요가 폭발하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미국의 통화정책을 주시하면서 국내 집값상승, 가계부채 등을 고려해 8월이나 10월에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임광복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