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日 기업 PBR 1 미만 기업 2년새 43%→ 28%… "밸류업 프로그램 벤치마킹 필요"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日 기업 PBR 1 미만 기업 2년새 43%→ 28%… "밸류업 프로그램 벤치마킹 필요"

2024년 3월18일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은행 건물에서 일장기가 휘날리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3월18일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은행 건물에서 일장기가 휘날리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한국이 일본 밸류업 프로그램의 성과를 벤치마킹해 장기적인 관점으로 밸류업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본은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기업들의 PBR(주가순자산비율) 1 미만 기업 비중이 2022년 43%에서 2024년 28%로 감소했다.
우리나라도 기업가치 제고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단기적 주주환원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장기투자 유치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KIF는 최근 발간한 '금융브리프' 33권 16호에서 일본의 자본시장 개혁 노력과 그에 따른 시사점을 분석했다고 5일 밝혔다.
일본 주식시장의 최근 활황은 단순히 제도적 개혁의 결과가 아닌 복합적 요인의 산물로 평가된다. 엔화 약세로 인한 기업 실적 개선, 지배구조 개선, 일본은행과 공적연금의 주식 매입, 글로벌 자금의 중국 이탈 등이 함께 작용한 결과다.

다만 한국은 일본 밸류업 프로그램의 성과를 벤치마킹에 장기적인 관점으로 밸류업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일본 정부는 2022년 주식시장 구조를 개편해 기존 5개 시장을 Prime(대기업), Standard(중견기업), Growth(신생·벤처기업) 3개 시장으로 재편했다. 이후, 상위 상장사에 엄격한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하고 해외투자자와 적극적으로 대화할 것을 요청했다. 또 2022년 11월에는 개인저축계회 NISA를 개편해 개인투자자의 자금유입을 늘렸다.

이러한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일본 기업들의 PBR(주가순자산비율) 1 미만 기업 비중은 2022년 43%에서 2024년 28%로 감소했다. 또 2024년 4월 기준 일본 프라임 시장에 속하는 기업의 69%, 스탠다드 시장 기업의 28%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은 코스닥 시장을 대표하는 대표지수인 KRX300을 구성하는 기업 중 PBR이 1미만인 기업의 비중이 38%, ROE이 8%미만인 기업이 45%로, 우리나라 상장사들도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선 제도적 도움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KIF는 이러한 일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특히 기업의 자본효율성 제고, 주주환원 확대, 투자 활성화 등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함께 개인투자자 육성을 위한 ISA 제도 개선 등을 제안했다.

특히 현재 밸류업 프로그램이 배당과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지속가능한 사업 계획을 마련하고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일반주주 보호 등 장기적 안목의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가족경영 중심의 대기업 집단이 발달한 우리나라 특성상 지배주주의 경영 전횡이 이슈가 되는 경우가 많아 경영진의 전횡을 막고 일반주주의 권리를 보호할 필요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선 일반투자자들과 기관투자자들에게 장기투자를 장려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 한국 기업들의 가치 제고를 위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기업, 투자자, 정부가 협력하여 자본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