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자동차보험 시장점유율 85%를 차지하는 4대 손보사의 평균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4.2%를 기록했다. 전달(82%)과 비교하면 2.2%포인트 올랐고, 지난해 8월(80.6%)과 비교해도 3.6%포인트 뛰었다.
8월의 손해율 상승으로 인해 올해 1~8월 누적 손해율도 80.4%로 치솟았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손해보험업계가 손익분기점으로 여기는 80%를 넘어선 것이다.
이러한 손해율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7월의 집중호우와 8월의 전기차 화재가 지목되고 있다. 손보업계에 따르면 7월 집중호우로 3582대의 차량이 침수됐고 추정 손해액은 319억4400만원으로 추정됐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보험사가 사고가 난 가입자에게 '지급한 보험금'을 전체 자동차보험 가입자로부터 받은 '수입보험료'로 나눈 값을 뜻한다. 손해보험업계는 손해를 보지 않는 자동차보험 적정손해율을 80% 이하로 보고 있다.
손보업계는 2년 연속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했는데, 하반기엔 통상 손해율 인상 요인이 많은 만큼 내년도 보험료 인상 압박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