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은 이자수익이 늘고, 금리부담이 커진 차주만 울상을 짓고 있다.
가계 예대금리차는 가계대출 금리와 예금 금리의 차이로,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은행의 수익은 커지는 구조다. 8월 5대 은행의 예금 등 저축성 수신 평균 금리는 전월보다 0.06%p 내린 연 3.37%였지만, 가계대출 금리는 연 3.94%로 오르면서 예대금리차가 더 벌어지게 된 것이다.
다만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규제 시행 직전이라 주담대 막차 수요가 집중됐던 8월 이후로도 금리를 끌어올린 배경에는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우리은행은 이달 2일부터 아파트 담보대출 금리를 최고 0.2%p 높였다. 국민은행은 이달 4일부터 가계대출 금리를 0.15~0.25%p 상향 조정했다. 신한은행도 같은 날부터 신규구입자금 및 생활안정자금 주담대 금리를 0.1~0.2%p 올렸다.
예대금리차로 배 불리는 은행과 달리 서민들은 허리띠를 조이는 실정이다. 시중은행을 비롯한 1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카드 대출에 풍선효과가 일기도 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카드 대출금액은 약 45조원으로, 통계 추산을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카드론 대환대출의 경우 9개 신용카드사에서 동 시기 잔액 1조99166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24.9%(1조5347억원) 증가했다.
이 때문에 금융권에 ‘이자 놀이’를 주의해달라는 당국의 추가 요청도 나왔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말 금융지주들에 가계부채 관리에 만전을 다하라고 요청하면서도 “금융권의 과도한 이자수익에 대한 비판도 큰 상황이므로 사회적 책임을 다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