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1분기 기준 순이자마진 韓1.56%, 美3.25%
국내은행 1분기 순이자마진 1000억 원 감소
국내은행 1분기 순이자마진 1000억 원 감소

15일 정치권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차 비상경제점검 TF 회의 당시 이재명 대통령은 국내은행의 예대금리차가 해외와 비교했을 때 큰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해외 금융사와 비교하면 높지 않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의 해당 질의 배경에는 은행들의 이자수익이 증가하는 것에 있어서 안 좋게 보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2023년에 ‘횡재세’를 언급하며 은행들의 이자수익 증가에 좋지 않은 관점을 보여줬다.
올해 1분기 은행들의 NIM은 지난해 1분기보다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분기 은행들의 NIM은 △KB국민은행 1.76% △신한은행 1.55% △하나은행 1.48% △우리은행 1.44%이다. 해당 4대 은행들의 평균 NIM은 1.56%이다. 이는 지난해 1분기(1.64%)보다 0.08% 감소한 수치이다. 국내은행들은 이자이익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00억 원 감소했다.
올해 1분기의 국내은행들의 NIM은 미국의 NIM에 비하면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미국은행들의 2025년 1분기 자료들에 따르면 은행들의 NIM은 Industry는 3.25%, Community Banks는 3.46%인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은행들의 NIM은 2024년(Industry:3.18%, Community banks:3.23%)부터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Industry는 미국 전체 은행 산업을 전부 의미하고, Community banks는 지역사회 기반을 둔 중소형 은행들을 의미한다.
금융위원회는 과거에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싱가포르, 홍콩, 스위스, 노르웨이 등 주요국가의 예대금리를 발표했다. 발표 당시 한국의 예대금리차는 2.01%로 △싱가포르(5.11%) △홍콩(4.98%) △스위스 (2.98%) △노르웨이(2.18%)보다 낮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기준 국내은행의 예대금리차는 1.48%P이다.
은행권에서는 현재의 예대금리차가 우려할 정도의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현재 은행권의 예대금리차 수준은 우려가 있거나 하는 수준은 아니고 예의 주시할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구성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oo9k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