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청년 등 금융취약계층 대상 필요한 금융혜택 제공

먼저, 은행권 민생금융지원방안의 공통 프로그램인 개인사업자 대출이자 캐시백을 2002억 원 집행 완료하여, 당초 계획했던 1994억 원 보다 초과 집행했다. 이를 통해 고물가와 내수회복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했다.
자율 프로그램으로는 △서민금융진흥원에 612억 원 출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신용보증재단에 194억 원 출 연 △저금리대환대출 보증료 지원을 포함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무역보험공사 보증료 168억 원을 지원했다.
또한, 소상공인의 사업장 운영비 경감을 위한 △에너지생활비 300억 원 △고효율 에너지 및 디지털 전환 기기 교체 등 사업장 환경개선 비용 100억 원 등을 지원했고, 매월 가맹점 제신고 대행수수료, 스마트 결제기기 구입비용, 맞춤형 컨설팅 비용도 지원했다.
이호성 하나은행장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서민, 청년 등 금융취약계층 손님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 드리기 위한 다양한 맞춤형 금융지원을 시행해 오고 있다”며, “앞으로도 하나은행은 사회 전반에 걸쳐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진정성 있게 포용금융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구성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oo9k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