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8월 4.1조 '대출규제 약발 떨어져'

글로벌이코노믹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8월 4.1조 '대출규제 약발 떨어져'

6·27 대출 규제 반짝효과 약발 떨어져
주담대 3.4조→3.9조 증가폭 확대
기타대출 -0.6조→+0.3조 증가 전환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5년 8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7월 말보다 4조1000억원 증가한 116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7월(+2조7000억원) 보다 증가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사진은 이날 서울시내 은행 영업점 대출 창구 모습.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5년 8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7월 말보다 4조1000억원 증가한 116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7월(+2조7000억원) 보다 증가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사진은 이날 서울시내 은행 영업점 대출 창구 모습. 사진=뉴시스


6·27 대출 규제로 7월 2조원대까지 줄어들었던 가계대출 증가액이 8월 4조원대로 복귀하면서 규제 약발이 떨어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 규제강화와 집값상승 우려가 커져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5년 8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7월 말보다 4조1000억원 증가한 116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7월(+2조7000억원) 보다 증가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1월 5000억원 감소한 뒤 2월 3조2000억원 늘면서 증가로 돌아섰다. 이후 3월 1조6000억원, 4월 4조7000억원, 5월 5조2000억원, 6월 6조2000억원 등 점차 증가 폭을 확대하다 6·27 대출 규제로 7월 증가세가 크게 꺾였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주담대는 6월 5조1000억원 늘었다가 7월 3조4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증가세가 둔화되는가 싶더니, 8월 3조9000억원 늘면서 반등했다.

주담대에 포함되는 전세자금대출은 한 달 전보다 4000억원 증가했다.

일반신용대출과 신용한도대출(마이너스통장대출), 상업용부동산 담보대출, 예·적금 담보대출, 주식담보대출 등을 포함하는 기타대출은 7월 6000억원 감소에서 8월 3000억원 증가로 돌아섰다.

다만 한은은 6·27 규제 효과가 소멸되고 있다는 지적에 5~6월 중 급증한 주택거래가 2~3개월 시차를 두고 8월 가계대출 통계에 반영되고 있어 규제 효과를 판단하는 데 이르다는 설명이다. 국토교통부와 부동산 114에 따르면 최근 서울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3월 9600건 △4월 5000건 △5월 7300건 △6월 1만900건 △7월 3900건 등이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담대는 6·27 대책의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5~6월 중 늘어난 주택거래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주택구입목적 주담대를 중심으로 증가규모가 소폭 확대됐다"면서 "기타대출은 전월 일시 중단되었던 비대면 대출 재개 등으로 증가전환했으나, 신용대출 한도 축소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8월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1354조8000억원으로 한 달 전 보다 8조4000억원 증가했다. 6월 3조6000억원 감소에서 7월 3조4000억원 증가로 돌아선 뒤 증가 폭이 크게 확대됐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