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정무위 국감] 이찬진 “삼성생명 회계 논란, IFRS에 맞게 정리”

글로벌이코노믹

[정무위 국감] 이찬진 “삼성생명 회계 논란, IFRS에 맞게 정리”

“임시 봉합보다 근본 해결”…‘계약자지분조정’ 중단 가능성 시사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삼성생명의 ‘일탈회계’ 논란에 대해 “국제회계기준(IFRS)에 맞는 방향으로 정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구체적인 조치 내용을 질의회신(Q&A) 형식으로 곧 공식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의원이 “금감원이 삼성생명 회계 처리 문제에 명확한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자 “국제기준에 맞게 회계 처리해야 한다는 내부 합의가 이미 이뤄졌다”며 “그 방향으로 절차를 밟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삼성생명의 ‘계약자지분조정’ 회계 처리 관행을 중단하도록 지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금융권 안팎에서 제기된다.

삼성생명은 1980~1990년대 유배당형 보험상품을 판매하면서 계약자 납입금으로 삼성전자 지분 8.51%를 매입했다. 이후 이 지분과 관련한 계약자 몫을 재무제표상 ‘보험부채’가 아닌 ‘계약자지분조정’이라는 별도 부채 항목으로 분류해왔다.

금감원은 2022년 말 새 보험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삼성생명이 “삼성전자 지분을 매각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히자, 예외적으로 ‘일탈 조항’을 적용해 이 같은 분류를 인정한 바 있다.
그러나 이찬진 원장은 취임 이후 줄곧 “이번 기회에 회계기준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원칙론을 고수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보험업계 CEO 간담회 후에도 “삼성생명 문제를 임시방편으로 넘기지 말고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밝히며, 유예나 봉합이 아닌 근본적 정리 의지를 재확인한 바 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